<p></p><br /><br />내부고발을 이어가는 신재민 전 기획재정부 사무관이 단체 채팅방을 공개했습니다.<br><br>이름은 가렸지만 차관보, 과장이란 직함이 보입니다.<br><br>차관보가 묻고 자신이 답변한 것도 있습니다.<br><br>'나는 젊은 사무관이지만 폭로한 국채 업무를 정확히 알고 있다'는 걸 말하고 싶은 것인지 모르겠습니다.<br><br>차관보가 내린 지침도 보입니다.<br><br>이 지침은 어떤 의미인지 김지환 기자가 설명드립니다.<br><br>[기사내용]<br>오늘 신 전 사무관이 추가 공개한 SNS 대화내용입니다.<br><br>당시 차관보로 추정되는 인물이 국가 채무비율을 줄이지 말라고 지시합니다. <br><br>갚을 여력이 있는데도 나라 빚을 최대한 갚지 말라는 지시입니다.<br><br>실제 기재부는 다음날 1조원을 들여 나라 빚을 줄이려던 계획을 전격 취소했습니다. <br><br>[신재민 / 기재부 전 사무관]<br>"2017년에 GDP 대비 채무비율을 지금 올려야 하는데, 왜 국채 더 발행 안 해서 GDP 대비 채무비율 낮추느냐고…"<br><br>기획재정부는 이런 의혹을 부인하고 있습니다. <br><br>[구윤철 / 기재부 2차관(어제)]<br>"국채 조기상환 및 적자 국채 발행 관련 청와대의 강압적 지시가 있었다는 것은 전혀 사실과 다릅니다."<br><br>당시 국채 조기상환을 준비했던 국고채 전문딜러들의 의견은 다릅니다.<br><br>[시중은행 국고채전문딜러]<br>"취소되면서 시장에서는 정부압력이 있지 않았느냐… (신 전 사무관 주장) 내용은 어떻게 보면 다 맞는 말이죠."<br><br>채권시장에 혼란이 오기 때문에 하루 전에 국채 조기상환을 취소하는 것은 드물다는 겁니다.<br><br>[시중은행 국고채전문딜러]<br>"당황스러워서 기재부에 연락했는데 연락이 잘 안 됐어요. 갑자기 지시를 받았을 테고 답변 섣불리 하면 시장이 어떻게 될지 모르니까…“<br><br>또 다른 딜러 역시, 채권시장에서는 '윗선의 지시로 조기상환이 취소됐다'는 추측이 계속 나왔다고 밝혀 논란은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김지환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변은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