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청와대는 별 문제 없다고 반박했습니다.<br><br>국채를 발행할 때 청와대와 기획재정부가 논의 하는 건 당연한 일이고 '강압적인 지시’는 더더군다나 없었다는 겁니다.<br><br>안건우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><br>[기사내용]<br>의혹의 핵심은 국채발행 검토 과정에서 청와대의 강압이 있었느냐입니다.<br><br>특히 보도자료 배포 중단을 지시한 청와대 인사로 당시 경제정책비서관이었던 차영환 국무조정실 2차장이 지목됐습니다.<br><br>당사자들은 모두 대응을 않겠다는 입장입니다.<br><br>청와대는 대응할 가치도 없다며 공식 반응을 내놓지 않겠다고 했습니다.<br><br>차영환 전 비서관도 전화통화에서 기재부가 공식 대응할거라는 말만 반복했습니다.<br><br>사실이 아니란 이유에섭니다.<br><br>복수의 청와대 관계자에 따르면 차 전 비서관이 기재부의 보도자료 배포를 취소하라고 지시한 것은, 청와대와 기재부 사이 관련 내용에 대한 최종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란 설명입니다.<br><br>최종안이 아닌데 기재부가 일방적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려 해 일단 보류시켰다는 취지입니다.<br><br>또 국채 발행에 대한 검토는 청와대 권한내 일이며,기재부와의 논의는 당연한 과정으로 강압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.<br><br>홍장표 당시 경제수석은 신재민 전 사무관의 폭로가 처음 불거졌을 당시 청와대의 국채 발생 압박에 대해 채널 A에 "전혀 모르는 내용이다” "기억에 없다”고 부인했습니다.<br><br>홍 전 수석은 현재 해외 체류중으로 이번엔 연락이 닿지 않았습니다.<br><br>채널 A 뉴스 안건우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 김준구 한효준 <br>영상편집 김민정<br>그래픽 윤승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