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보신 것처럼 트럼프 대통령은 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을 잔뜩 주고 있는데요. <br> <br>실상은 조금 다른 것 같습니다. <br> <br>정부 고위 관계자는 북미 협상이 이견 차이로 난항을 겪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조아라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뉴욕과 판문점 채널을 통한 북미간 접촉에 이상 기류가 감지되고 있습니다. <br><br>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"회담장에 나오라는 미국의 요구에 북한은 '알겠다'는 말만 할 뿐 협상에 적극적이지 않다"고 전했습니다.<br> <br>트럼프 대통령이 2차 북미정상회담 장소를 띄우고 있지만 군불 때기에 불과하다는 분석입니다. <br><br>"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'레토릭'일 뿐"이라는 겁니다. 북미가 평행선을 달리는 건 입장 차이가 크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미국은 2차 북미정상회담에 앞서 고위급회담이 반드시 열려야 한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비핵화에 대한 사전 조율이 된 뒤 정상회담을 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우리 정부도 고위급 회담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강경화 / 외교부 장관 (지난 1일)] <br>"어떠한 비핵화 조치에 어떠한 상응조치가 말하자면 등가냐 하는 논의는 북미 간에 협상 테이블에 앉아야만 답이 나올 것 같습니다." <br> <br>하지만 북한은 미국의 상응조치가 먼저라며 버티고 있습니다. <br><br>북한 대남선전매체 메아리는 "미국에 과분할 만큼 선의와 아량을 베풀었다"며 "협상이 전진하려면 미국이 상응조치로 화답해야 한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> <br>풍계리 핵실험장을 폭파했고, 영변 핵시설 영구 폐기를 조건으로 내건 만큼 이제는 미국이 응답할 차례란 겁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아라입니다. <br> <br>likeit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조승현 <br>영상편집: 배시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