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민주노총이 공개한 올해 총파업 계획입니다. 정부의 경제 살리기 정책에 동의 못하겠다는 생각입니다. <br> <br>문재인 정부는 역대 어떤 정부보다 노동계에 우호적입니다. <br> <br>그런 정부를 향해서조차 비타협 원칙을 고집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한국노총과 민노총은 정부가 최저임금 결정방식 개편안을 일방적으로 발표했다며, 받아들일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 <br> <br>[이성경 / 한국노총 사무총장] <br>"정당한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노총은 부득이 투쟁력을 발휘해서 강력하게 정부 투쟁을 하도록 하겠습니다." <br> <br>주52시간 근로제의 보완책인 탄력근로제 확대 논의도 거부했습니다. <br><br>탄력근로제는 일감에 따라 근로시간을 신축적으로 조정해 평균적으로 주52시간 근무을 맞추는 겁니다. <br><br>[백석근 / 민노총 사무총장] <br>"탄력근로제와 국회에서 개악하고자 하는 노동 관련 법들에 대해서 총력 총파업 투쟁을 결의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민노총은 1년치 총파업 시간표까지 제시했습니다. <br><br>당장 다음달부터 노동시간 유연화 저지를 위한 총파업을 시작으로 11월에는 사회 개혁과제를 제기하기 위한 '사회적 총파업'에 이르기까지 총 4차례의 총파업을 예고했습니다. <br><br>김명환 민노총 위원장은 그동안 불참했던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는 합류하겠지만, 탄력근로제 확대 논의는 중단시키겠다고 선언했습니다. <br><br>또 내년 총선에 대비해 범국민적 연대조직을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현우입니다. <br> <br>정현우 기자 edge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박연수 김찬우 <br>영상편집 : 김지균 <br>그래픽 : 조한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