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文 회견문 키워드 분석...경제 35, 함께 14, 문화 11회 / YTN

2019-01-10 21 Dailymotion

문재인 대통령이 오늘 신년 회견의 키워드는 경제와 성장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만큼 어려운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를 대통령도 엄중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반증입니다. <br /> <br />오늘 회견에서 대통령이 가장 많이 사용한 단어, 경제였습니다. <br /> <br />35번 언급한 경제에 이어 성장이 29번, 국민 25번, 혁신이 21번 언급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도 대통령은 '함께 잘 사는 경제'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함께가 14차례, 공정이 10번, 뒤이어 포용, 산업, 투자, 규제 라는 단어가 언급됐습니다. <br /> <br />양극화와 불평등을 해소하고 소득 분배를 강조하는 포용적 경제 성장 기조를 명확히 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한반도 평화에 대한 의지도 분명히 했습니다. <br /> <br />'평화가 곧 경제다'라는 말에서 대통령이 남북관계에 얼마나 큰 힘을 쏟고 있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평화가 12차례, 뒤이어 한반도와 북한, 김정은은 한 번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회안전망 확충과 개혁과제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안전과 개혁을 각각 8차례와 3차례, 적폐와 청산도 2차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권력 적폐, 생활 속 적폐 등 정치적으로 공격받았던 적폐청산과는 다른 의미의 적폐 청산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끝으로 주목되는 또 하나의 키워드는 바로 문화입니다, <br /> <br />모두 11번 언급했는데요. <br /> <br />문화정책 내용이 많았던 건 아니지만 경제, 사회, 정치, 외교 전반의 국정운영 철학을 문화적으로 함축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'문화'를 언급한 김구 선생의 말을 모두발언 마무리에 배치한 듯합니다. <br /> <br />혁신적 포용국가를 '함께 잘사는 문화'로 표현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됩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11014284452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