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최근 동해안에서 깊은 바다에서 사는 심해어들이 잇따라 발견됐습니다. <br> <br>평소엔 보기 힘든 심해어종의 출현을 놓고 대지진의 전조가 아니냐는 말도 나오는데요. <br> <br>정말 맞는 말인지, 김지환 기자가 따져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동해안 해변 얕은 바닷물 위로 은색 빛의 기다란 생물체가 떠 있습니다. <br> <br>길이만 무려 4.2m에 달하는 대형 산갈치입니다. <br><br>수심 400m 이하 깊은 바다 속에 사는 심해어지만, 해안까지 떠오른 겁니다. <br> <br>[배현숙 / 인근 주민] <br>"이렇게 큰 물고기 처음 봐요. 동네 사시는 분이 산책하다가 큰 고기가 밀려온 걸 봤다고 해서 구경 왔어요." <br> <br>지난달 8일, 강릉 바닷가에서도 길이 1.5m의 심해어종 투라치가 발견됐습니다. <br> <br>닷새 전엔 한 무리의 숭어떼가 파도를 타고 해안가로 몰려드는 이상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흔치 않은 장면이 잇따르자 일각에선 대지진의 전조를 느낀 동물들의 이상행동이 아니냐는 추측도 나옵니다. <br><br>2015년까지 연평균 48번에 불과했던 한반도 지진이 최근 3년 새 최대 5배 급증한 것도 이런 추측의 근거가 되고 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전문가들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선을 긋습니다. <br> <br>[우남철 / 기상청 지진전문분석관] <br>"굉장히 많은 연구결과가 나왔는데 한 가지도 연관성이 증명된 바가 없습니다. 지진은 아직까진 인류가 예측할 수 없는 자연현상입니다." <br> <br>심해어와 숭어떼 모두 먹이를 찾다가 해수면까지 떠밀려왔을 가능성이 크다는게 전문가들의 설명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지환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장창근(스마트리포터) <br>영상편집: 이태희 <br>그래픽: 전유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