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서울에서 교통사고로 숨진 사망자 수가 1970년 통계를 집계한 이후, 가장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은 교통안전 시설물을 확대 설치하고 단속을 강화한 점 등이 주효했다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서울지역의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99명으로 가까스로 2백 명대에 진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970년 통계를 집계한 이후 최저치입니다. <br /> <br />자동차 만 대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도 처음 1명 밑으로 내려갔고, 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도 지난해보다 줄어드는 등 최근 꾸준히 감소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사고 유형별로는 이륜차와 음주운전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특히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경찰은 간이중앙분리대 같은 교통안전 시설물을 확대 설치하고 과속 등 사고 요인에 대한 단속을 강화한 게 주효했다는 분석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2022년까지 '교통 사망사고 절반 줄이기' 달성을 목표로 종합 교통안전대책을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서울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재작년과 비교해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가 줄어든 곳은 여럿, 눈에 띕니다. <br /> <br />광주 36%를 비롯해 부산이 20%, 강원도가 16% 정도 교통사고 사망자가 감소한 겁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전문가들은 감소 요인엔 경제 상황 등 다른 이유가 있을 수 있는 만큼 단순히 교통사고 안전도가 높아졌다고 생각하는 건 위험하다고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[이수범 / 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 교수 : 경제 상황이 계속 안 좋았기 때문에 교통사고에 노출되는 빈도나 확률이 전체적으로 줄어서 그 때문에 사고가 줄었을 가능성도 있어서….] <br /> <br />실제, 전국적으로 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7.3명으로 OECD 평균 5.6명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. <br /> <br />향후 사망자 감소 추세를 장담할 수도 없는 만큼, 교통안전체계를 갖추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. <br /> <br />YTN 최두희[dh0226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11322284186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