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친환경 수소경제, 정부가 미래 핵심 산업으로 정하고 지원을 아끼지 않는 분야입니다. <br> <br>수소충전소도 대폭 늘리기로 했는데요. <br> <br>하지만, 현재의 기술이 정부 구상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김지환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서울 2곳을 포함해 전국 수소 충전소는 불과 14곳. <br> <br> 연구용을 제외하면 일반인은 9곳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 문재인 대통령은 규제를 풀어 수소 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수소충전소 규제 개선과 설치 지원도 강화하겠습니다. 수소 충전소를 올해 86개, 2022년까지 310개로 늘려… " <br> <br> 충전소가 1천2백 개로 늘어나는 2040년에는 수소차 누적생산량을 620만 대로 늘리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습니다. <br> <br> 수소와 산소를 결합해 전기를 만드는 연료전지도 정부가 구상하는 수소산업 생태계의 한 축입니다. <br> <br> 정부는 안전성을 강조하지만 폭발 위험성을 걱정하는 목소리는 여전합니다. <br> <br>[손동현 / 경기 고양시] <br>"터지고 그런 위험이 많다고 들었는데 거기에 대해서 어떻게 안전한지 말을 해주시면 안심하지 않을까…“ <br> <br> 현재 기술이 수소경제의 로드맵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 석유화학 공정에서 추출하는 수소가 제한적이고, 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확보하겠다는 방안은 효율이 떨어진다는 겁니다. <br> <br>[이덕환 / 서강대 화학과 교수] <br>"수소를 생산하고 수송하고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이 없어요. 투자해서 노력해야 하는 단계이지, 상용화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에요." <br> <br> 정부는 올해 가칭 '수소경제법'을 제정하고 국무총리를 수장으로 수소경제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지환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윤재영 <br>영상편집 손진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