금메달을 따지 못하거나 순위에 들지 못했다고 고개 숙이는 우리 선수들의 모습 그동안 많이 봐왔습니다. <br /> <br />폭행과 강압을 정당화한 엘리트 체육의 선수 육성방식과 성적만능주의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정부가 이런 엘리트 중심의 체육을 바꾸겠다며 대책을 내놨는데 제도개선과 함께 무엇보다 국민 의식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홍성욱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016년 리우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딴 레슬링 김현우 선수. <br /> <br />팔이 빠지는 고통 속에도 투혼을 발휘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국민 성원에 보답하지 못했다며 고개를 숙였습니다. <br /> <br />[김현우 / 레슬링 선수 (지난 2016년) : 큰 기쁨을 드리고 싶었는데 그러지 못한 게 너무나 아쉽고….] <br /> <br />금메달을 따지 못하거나 순위에 들지 못해 죄송하다는 말을 꺼내는 선수들. <br /> <br />성적에만 집착하는 엘리트 체육이 뿌리내린 한국 스포츠계 또 다른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체육계 폭행과 성폭력 파문의 근본적인 원인이 성적만능주의 엘리트 체육에 있다는 지적은 그동안 계속됐습니다. <br /> <br />문체부가 국제무대에서 성적이 떨어지는 한이 있더라도 엘리트 체육의 선수 육성 시스템을 바꾸겠다고 밝힌 이윱니다. <br /> <br />[도종환 /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: 국위선양에 이바지한다는 것이 나와 있는데 이런 형태가 아니라 공정하게 경쟁하고, 최선을 다해 뛰고 달리고, 상대를 인정하고 존중하고…] <br /> <br />성적이 떨어지면 쇄도하는 비난 여론도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네티즌과 팬들의 잔혹한 평가에 선수들은 일희일비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[최동호 / 스포츠평론가 : (문체부 정책에)반감이나 저항도 있을 거라고 예상되는데요. 국민에게 '우리 시대의 스포츠는 바로 이것이다'라는 스포츠 정의를 설득하고 이해시키는 작업도 굉장히 중요하다고 봅니다.] <br /> <br />폭행과 압력을 정당화하는 엘리트 체육의 개선과 함께 금메달과 1등만 바라는 국민의 의식 변화가 시작돼야 할 때입니다. <br /> <br />YTN 홍성욱[hsw0504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sn/0107_20190126045451615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