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6개월 전이었습니다. <br> <br>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는 고용 쇼크의 책임을 이전 정부에 돌리면서 이렇게 비판했죠. <br><br>“이명박·박근혜 정부 때 산업 전반의 구조 개선에는 소홀한 채 건설·토건 사회간접자본(SOC)에만 집중했다.” <br> <br>그런데 청와대와 여권은 왜 지금 와서 건설과 토건을 띄우려는 걸까요. <br><br>이어서 김철중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문재인 대통령(지난 24일, 대전)] <br>"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검토하겠습니다" <br> <br>[이해찬 / 더불어민주당 대표(지난 20일, 시도지사 간담회)] <br>"예타 면제사업 검토가 거의 끝나서 조만간 국무회의 의결을 거칠 예정입니다" <br> <br>청와대와 여당은 가는 곳마다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약속했습니다. <br> <br>불과 몇년 전까지만 해도 '토건 국가'라며 전 정부의 SOC사업을 비난하던 때와 180도 다른 모습니다. <br> <br>[문재인 대통령(2017년 4월)] <br>"SOC에 집중 투자했던 과거 일본의 실패를 되풀이할 이유가 없습니다." <br> <br>[이해찬 / 더불어민주당 대표(2016년 12월)] <br>"(4대강) 예비타당성 조사도 제대로 하지도 않았고, 불도저처럼 밀어붙였고" <br> <br>[추미애 /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(2015년 6월)] <br>"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시켜 버렸습니다. 결국 22조 원의 혈세가 들어가는 공사를 따져 보지도 않고" <br> <br>내년 4월 총선을 염두에 둔 선심성 정책이란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><br>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장 가운데 14곳이 민주당 소속입니다. <br> <br>특히 '친문 핵심' 인사가 단체장인 인천과 경남은 5조 원이 넘는 사업을 면제 대상으로 신청한 상태입니다.<br><br>야당과 시민단체는 반발하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[정용기 / 자유한국당 정책위의장(어제)] <br>“‘SOC사업은 삽질’이라고 폄하했던 이 정권이 갑자기 이제 총선이 1년여 앞으로 다가오니까…" <br> <br>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"적폐 정권을 답습하는 꼴" 이라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철중입니다. <br>tnf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한규성 이승훈 <br>영상편집 : 김민정 <br>그래픽 : 전유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