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치고도, 세금 먹는 하마로 전락한 사업들이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 최소한의 장치인 예타까지 면제한다면,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갈 것이란 지적입니다. <br> <br>김지환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총사업비 7천억 원을 들여 지난 2013년 운행을 시작한 용인 경전철입니다. <br> <br> 운영비는 꾸준히 들어가는데 요금을 내고 탑승하는 시민이 많지 않아 매년 4백억 원이 넘는 적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. <br><br>"현재 시간이 오후 1시 30분입니다. 용인 경전철은 평균 6분 간격으로 1량의 열차만 운행되고 있는데요. 과연 시민들이 얼마나 이용하고 있는지 제가 직접 탑승해보겠습니다." <br><br>출발역부터 종착역까지 14개 역을 이동하는 동안 경전철에 탑승한 시민은 모두 68명. <br><br> 당초 하루 평균 승객 16만 명으로 보고 예비타당성을 통과한 경전철은 지금 3만 명을 태우는데 그치고 있습니다. <br> <br>8년 전 개통한 김해경전철도 마찬가지. 수요를 부풀려 개통한 탓에 지자체는 매년 혈세 4백억 원을 투입해 손실을 보전합니다. <br> <br>[김정구 / 경남 김해시] <br>"(주민들이) 택시 안 타면 못 오니까 전철역까지…처음에 용역할 때 17만 명이라고 했는데 지금 보면 엉망이죠." <br> <br> 전남 서부와 동부를 잇는 목포-광양 고속도로 역시 타당성 조사 당시 예측 교통량의 1/5에 그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성호 / 고속도로 이용객] <br>"여수엑스포 때문에 만든 것 같은데 차후 생각도 않고 무작정 만들었다는 생각도 듭니다." <br> <br>[최승섭 /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국책사업감시단] <br>"지자체 파산까지 나올 정도로 예비타당성 조사가 문제 있게 진행됐습니다. 그러한 예타조차도 하지 않는다면 시민들에게 더 부담을 줄 수밖에… " <br> <br> 예산 낭비를 막겠다며 도입한 예비타당성조사마저 부실했던 것으로 드러나 지자체는 빚만 쌓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지환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이기현 이기상 김덕룡 <br>영상편집: 김지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