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미세먼지를 씻어내 주길 기대했던 인공강우 실험이 사실상 실패했는데요. <br> <br>실험 자체의 실효성을 의심하는 목소리도 나옵니다. <br> <br>박수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증기를 모으는 물질을 쏴 빗방울을 만들어내는 인공강우 실험. <br> <br>미세먼지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지 기대를 모았지만 구름 내부에서 강수 입자의 크기가 커진 것만 확인됐고, 의미 있는 양의 비나 눈은 관측되지 않았습니다. <br><br>2008년 시작된 인공강우 실험은 선진국들에 비하면 걸음마 단계. 연구 기간뿐 아니라 인력과 장비 격차가 큽니다. <br><br>[하종철 / 기상청 응용기상연구과 과장] <br>"(다른 국가들은) 다양한 항공기를 가지고 있어서 여러 실험이 가능하고 기술 축적이 많이 돼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" <br> <br>인공강우를 미세먼지를 줄이는데 활용하겠다는 실험 자체에 회의적인 시각도 나옵니다. <br> <br>미세먼지는 고기압 영향권에서 대기가 정체될 때 발생하는데 고기압 상태에서는 구름이 없어져 인공강우를 발생시키기 어렵다는 겁니다. <br> <br>[이덕환 / 서강대 화학과 교수] <br>"비는 저기압 상황에서 내리는 거고 미세먼지는 주로 고기압 상황에서 발달해요. 서로 배타적인 자연 현상이에요." <br> <br>실제로 중국과 태국에서 이뤄진 실험도 공식 성공 사례로 인정받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현재 한국의 인공강우 실험 성공률은 절반에도 못 미치는 상황. <br> <br>기상청은 이번 실험에 대한 상세한 분석 결과를 다음 달 발표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 <br>박수유 기자 aporia@donga.com <br>영상취재 김찬우 <br>영상편집 변은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