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이 노사정 대화기구인 경사노위 참여를 걷어찼습니다. <br> <br>결국, 탄력근로제, 최저임금 개편 문제 등 민감한 노동 현안들은 노사정 합의안 없이 국회로 넘어가게 됐는데요. <br> <br>2월 국회가 열릴지 조차 불분명한 상황에서 정부의 노동정책 구상에도 차질이 예상됩니다. <br> <br>김단비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현장음] <br>"경사노위 참가 말고 투쟁하라!" <br> <br>민노총의 경사노위 참여는 또 무산됐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말부터 경사노위에 참여해 왔던 한국노총도 정부의 노동정책을 비판하며 불참을 선언했습니다. <br><br>경사노위에서는 이달 말까지 탄력근로제 확대방안을 논의해 노사정 합의안을 내놓기로 했지만 사실상 불가능해진 겁니다. <br><br>하지만 경사노위는 양대 노총 없이도 탄력근로제 확대 방안을 예정대로 추진키로 했습니다. <br> <br>공익위원과 경영자 측의 제시안을 절충해 최종안을 국회에 보고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이에 따라 현재 3개월인 탄력근로기간은 최소 6개월에서 최대 1년 이내의 범위에서 절충될 걸로 예상됩니다. <br> <br>청와대도 노조의 불참에 강경한 입장을 내놨습니다. <br><br>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"사회적 대화와 타협은 선택사항이 아니라며 부족하면 부족한대로 예정된 일정에 맞춰 <br>나아가겠다"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여당도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다고 못박았습니다. <br> <br>[홍영표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] <br>"합의가 안 되면 2월 국회에서 탄력근로제와 최저임금개선 두 개 법안을 국회에서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." <br> <br>민노총은 다음달 총파업을 예고하고 있어 정부와 노동계와의 갈등은 더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단비입니다. <br>kubee08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추진엽 <br>영상편집: 이태희 <br>그래픽: 서수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