임금을 반으로 줄여 일자리를 두 배로 늘리는, 이른바 '광주형 일자리' 사업이 타결됐습니다. <br /> <br />광주시와 현대차가 투자협약식을 갖고 합작법인을 세워 완성차 공장을 짓는 것에 합의한 건데요. <br /> <br />조금 전에는 광주시와 현대차 사이에 투자 협약식도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소식 듣겠습니다. 나현호 기자! <br /> <br />결국 광주시와 현대차가 협약했군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조금 전 2시 30분부터 광주광역시청 1층에서 행사가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문재인 대통령과 광주시, 현대차가 한자리에 모여서 투자 협약식을 진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자 서명으로 서명하고 협약을 체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자리에서 이용섭 광주시장은 노동자에게는 안정된 일자리를, 투자자에게는 적정 수익을 보장해 노동이 존중받고 기업이 수익을 얻는 도시를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광주형 일자리가 이제 한국 경제의 미래가 달린 대한민국의 새로운 희망이라고 소감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광주에 합작법인으로 완성차 공장을 세우는 것은 어제 광주시와 현대차의 최종 합의안이 광주 노사민정협의회를 통과하고, 오늘 현대차와 광주시 사이에 최종 합의를 하면서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난해 말, 현대차와 지역 노동계 간에 협상이 결렬된 게 '독소조항'이 있었기 때문으로 알려졌는데요. <br /> <br />양측 이견을 잘 좁혔나 보군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12월 협의 과정에서 딱 한 가지 조항을 두고 현대차와 노동계가 견해차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'신설 법인 상생 협의회 결정 사항의 유효기간을 누적생산목표 35만 대 달성 때까지로 한다'는 조항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현대차는 조기 경영 안정과 지속가능성을 위해 이 조항이 꼭 필요하다고 봤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노동계는 이 조항이 회사가 임단협을 일정 기간 안 할 수 있는 빌미가 된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이 조항은 지난해 12월 협상이 깨진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광주시와 현대차는 다시 만났고, 추가 조항을 넣는 것으로 합의를 이뤄냈습니다. <br /> <br />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은 "지역 노동계와 현대차가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합의안을 만들었다"고 했습니다. <br /> <br />신설법인이 조기에 안정되도록 하면서, 동시에 노동문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합의안을 만들어 보완한 겁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런데 그동안 현대차 노조가 광주형 일자리를 반대해왔죠, 반발이 만만치 않겠는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현대차와 기아차 노조는 오늘 간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013115272003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