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재인 대통령은 광주형 일자리 투자 협약식에 직접 참석해 함께 잘사는 포용국가를 향한 역사적 전환점이 될 거라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구조조정으로 공장 설립 자체가 어려워진 다른 주력산업에도 일자리 창출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면서 사회적 대타협 정신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신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문재인 대통령의 '광주형 일자리 협약식 참석은 두 차례 무산 끝에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6월과 12월에도 최종합의가 불발되면서 참석이 취소됐습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지난해 문재인 대통령이 가장 아쉬워했던 일로 광주형 일자리 타결 불발을 꼽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신년 기자회견에서도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통한 국내 생산라인 증설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대통령 / 신년 기자회견(지난달 10일) : 이제는 새로운 생산라인을 한국에다 만들어야 되지 않겠습니까. 그렇게 될 수 있도록 저는 노사 간에 더 머리를 맞대고 지혜들을 모아주기를 바라고…] <br /> <br />문 대통령은 광주형 일자리가 노사 상생의 모델이라는 점에 가장 큰 의미를 뒀습니다. <br /> <br />광주형 일자리 자체의 성공은 물론이고 다른 지역으로의 확산, 그 밖에 혁신 성장을 통한 경제 활력 창출을 위해서도 노동계와의 협력은 필수적이지만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경제사회노동위원회 합류가 불발된 민주노총은 이번에도 정부가 노동 3권 제한을 허용한 셈이라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 대통령은 광주형 일자리가 사회적 대타협을 통해 적정임금을 유지하면서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는 걸 증명할 것이라며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대통령 / 어제 : 정부는 어느 지역이든 지역 노사민정의 합의로 '광주형 일자리' 모델을 받아들인다면, 그 성공을 위해 적극 지원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특히 조선이나 철강처럼 주력 산업의 구조조정으로 발목이 잡힌 지역에도 광주형 일자리 모델이 일자리 창출의 돌파구가 될 것으로 청와대는 기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신호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20101173820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