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다 지어놓고도 18개월 째 개점휴업 상태였던 신고리 원자력발전 4호기가 마침내 가동에 들어갑니다. <br> <br>결정을 차일피일 미루던 정부가 결국 운영 허가를 내 준 덕분인데요, <br> <br>갑자기 허가가 난 배경에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김남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원자력안전위원회는 어제 신고리 원전 4호기의 운영을 허가했습니다. <br> <br>2년 동안 일곱 번 회의를 거치면서도 지진 안전을 이유로 허가를 미루다 다소 갑작스레 결정한 겁니다. <br> <br>[A 씨 / 원안위 관계자] <br> "지진이 원전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지 여부를 당연히 봐야 되는 거고요.” <br> <br>원안위 설명대로라면 안전성이 확인돼 허가를 내줬다는 거지만, 신고리 원전 4호기의 내진 성능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점에서 설득력이 떨어집니다. <br> <br>일각에서는 허가가 미뤄지면서 중동 원전 수출에 악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<br>현재 사우디아라비아는 약 22조 원 규모의 원전 건설을 추진 중인데, 우리나라와 미국 중국 프랑스 러시아 등 다섯개 나라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. <br><br>이런 상황에서 우리 원전 안전 문제가 계속 부각될 경우 곤란하단겁니다. <br> <br>[주한규 / 서울대 원자력공학과 교수] <br>"화재방비가 덜 됐다 이런걸로 (허가 안해준) 핑계를 댔는데 수입국에서도 화재방비 덜됐네 안전하지 않네 우려를 할 수 있는" <br> <br>하지만 본질적으로 탈원전 정책 기조가 수정되지 않으면 미봉책일 뿐이라는 지적도 있습니다. <br> <br>[이덕환 / 서강대 화학과 교수] <br>“더럽고 위험해서 (우리가) 안 쓰겠다고 하는 (원전) 기술을 다른 나라보고 쓰라고 요구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자가당착이죠.” <br> <br>사우디 원전 수출 성공 여부는 이르면 3월에 걸졍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남준입니다. <br> <br>kimgija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김민정 <br>그래픽 : 손윤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