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소득주도성장 대신 ‘포용국가’…달라진 정책 이름표

2019-02-04 25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은 3년차를 맞아 정부의 정책기조를 바꾸지 않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청와대는 어떤 정책들은 이름을 바꾸기도 하고, 반대로 이름을 고수하기도 합니다. <br> <br>기준은 여론의 반응입니다. <br> <br>손영일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지난해] <br>"가계소득을 높여 소득주도성장의 기반이 될 것입니다." <br> <br>지난해 신년기자회견에서 전면에 내세웠던 '소득주도 성장’을 올해는 한번만 언급했습니다. <br> <br>대신 소득주도 성장과 사실상 같은 내용의 '포용국가'를 강조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올해] <br>"반드시 혁신적 포용국가를 이루어내겠습니다." <br> <br>여론의 반감을 의식한 대응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찬반 논란이 거센 탈원전은 '에너지 정책의 전환'으로 표현이 달라졌습니다. <br> <br>[이낙연 / 국무총리(2017년 9월)] <br>"탈원전 정책은 60년 이상 걸리는 장기적인 정책과제입니다." <br> <br>[이낙연 / 국무총리(지난해 12월)] <br>"에너지 전환 정책에 대해 일각에서 문제를 제기합니다." <br><br>문 대통령이 일자리 창출 모델로 강조하는 광주형 일자리는 '상생형 일자리’로 바꿔 부르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. <br> <br>특정지역에 혜택을 준다는 오해를 줄 수 있다는 판단에서입니다. <br> <br>[지난달 2일] <br>"사회적 대타협을 통해 상생형 일자리 모델을 만들 수 있을지를 가늠하는 척도가 될 것입니다." <br> <br>상대적으로 지지가 높은 정책은 기존 표현을 고수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'적폐청산’이 대표적입니다. <br> <br>[손영일 기자] <br>정책 이름도 중요하지만 이제는 정책 성과를 보여줘야 할 때란 지적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손영일입니다. <br><br>scud2007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준구 한효준 박찬기 <br>영상편집 : 박형기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