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짙어지는 경기 침체 그림자...관건은 고용 / YTN

2019-02-06 51 Dailymotion

올해도 경제 상황이 만만치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'취업 한파'가 좀처럼 누그러지지 않을 전망인데요, <br /> <br />경기 회복을 위해선 고용을 되살리는 정책적인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조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입시 학원과 공무원 학원, 고시촌 등이 몰려 있는 서울 노량진 일대! <br /> <br />특히 공무원이 되길 원하는 청년들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이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건 극심한 취업난과 무관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[이대모 / 취업준비생 : (특정 분야의 고용 축소로) 학생들이 대해 걱정이 많고 그래서 다른 분야, 특히 공무원 준비를 하는 분야로 눈을 돌리는 추세인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지난해 취업자는 2017년보다 10만 명가량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9년 만에 최소 증가폭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실업률은 17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는데, 청년 실업률도 여전히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체감실업률인 청년 확장실업률은 지난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최고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좀처럼 고용 사정이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행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와 내년에도 취업자 수 증가 폭이 20만 명을 밑돌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 회복을 위해선 고용 개선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[이주열 / 한국은행 총재 (지난달 24일) : 성장과 관련해 국민의 피부에 와 닿게 체감경기를 높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것은 뭐니뭐니해도 고용으로 보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고용 확대를 통한 소득 증가는 소비로 이어지고, 이는 경기 활성화를 유도해, 고용이 더 늘어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이정환 / 한양대학교 경제금융대학 교수 : 단기적으로는 정부의 재정 지출을 통해 고용을 늘리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정책입니다. (다만 장기적으로는) 생산성이 개선돼야 기업이나 자영업자가 임금을 줄 여력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고용이 확대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따라서 정부가 위축 추세인 민간의 고용을 확대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적극적인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조태현[chot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20707230124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