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철. <br>철. <br>철. <br>삼철 <br> <br>트럼프 행정부에서 북한 담당자들이 이따금 쓰는 말이라는군요. <br> <br>김영철, 박철, 김혁철. <br><br>미국을 괴롭히는 북한의 협상상대의 이름 때문입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김정안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김정은 국무위원장 바로 옆 4인용 소파. <br> <br>방미 결과 보고를 위해 김영철 부위원장, 김혁철 전 스페인 주재 북한대사, 박철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 부위원장이 순서대로 앉았습니다. <br><br>김영철 중심의 새 대미라인인 이들을 가리켜 '쓰리 철'. <br> <br>세 사람 이름 공통자인 '철'에 착안한 미 행정부 관계자들 사이 최근 유행어입니다. <br><br>워싱턴 소식통은 채널 A에 "이중 김혁철의 새직함(대미특별대표)은 비건 특별대표를 염두에 두고 만든 것"이라고 덧붙였습니다. <br><br>올해 48세, 능통한 영어에 협상경험이 풍부하다고 알려진 김혁철을 '특별대표 대 특별대표'란 틀에 맞춰 모양새를 갖출 만큼 북한은 적극적 협상의지를 보이고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미국 또한 제재에 대해선 여전히 강경하지만, <br> <br>[로버트 팔라디노 / 미 국무부 부대변인] <br>"유엔 대북 제재는 최종적이고 완전히 검증된 비핵화 전까지는 지속됩니다." <br> <br>돌파구를 찾고자 하는 의지는 어느 때보다 강하다는 분석입니다. <br><br>하지만 여전히 북미 비핵화 협상에 대한 회의론이 교차합니다. <br> <br>비건 특별대표가 인정했듯 "북미간 아직 구체적인 비핵화의 정의나 그 범위에 대한 합의점이 없다"는 것도 풀어야할 난제입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뉴스 김정안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