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노총의 참여로 탄력 근로제 단위 기간 확대를 위한 사회적 대화가 재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오는 18일까지 탄력근로제 논의를 이어간다는 계획이지만, 합의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김장하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제사회노동위원회 산하 노동시간제도개선위원회가 한국노총의 참여로 탄력근로제 단위 기간 확대 논의를 재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노동시간개선위가 앞으로 몇 차례 더 논의를 이어가겠지만 합의안이 나올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입니다 <br /> <br />경영계와 노동계는 기존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경영계는 현재 최대 3개월인 탄력근로제 단위 기간을 최대 1년으로 늘리고, 근로자 대표와의 서면 합의를 바꾸는 등 도입 요건을 완화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경영계는 추가 논의에 성실히 참여하겠지만 경사노위 안을 조속히 국회로 넘겨 입법을 마무리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[손경식 / 한국경총 회장 : 근로시간 단축 보완(탄력근로) 입법 논의가 합리적인 틀에서 조속히 마무리될 수 있도록 노력을 다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노동계는 탄력근로제 단위 기간을 왜 늘려야 하는지 경영계가 입증하지 못했고, 단위기간 확대 논의에 앞서 노동자의 건강권 보호와 임금 보전 장치를 우선 마련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노총은 또 시한을 두지 말고 충분히 논의하자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민주노총은 정부와 국회가 탄력 근로 확대를 강행하면 총파업으로 맞서겠다며 경사노위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노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명환 / 민주노총 위원장 : 모든 역량과 힘을 모아서 총파업 총력 투쟁에 돌입해서 개악을 저지하고 개혁을 완수시키는 민주노총의 2월 투쟁들을 과감히 전개해 나갈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경사노위는 18일까지 노사 합의가 안 될 경우 공익위원 권고안을 내거나 논의 결과를 정리해 그대로 국회에 제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여야가 2월 임시 국회 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어 국회로 넘어가도 탄력근로제 확대 논의가 제대로 이뤄질지는 여전히 불투명합니다, <br /> <br />YTN 김장하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210001456489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