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삶의 만족도 OECD 평균 수준으로 높인다 / YTN

2019-02-12 14 Dailymotion

"서랍 안에 반듯하게 접어 돌돌 말은 깨끗한 팬티가 잔뜩 쌓여있는 건 인생에 있어서 작기는(小) 하지만 확(確)고한 행(幸)복의 하나가 아닐까" <br /> <br />지난 1986년 무라카미 하루키가 발표한 수필집 '랑겔한스섬의 오후'에 나오는 구절인데, 익숙한 표현이 보이시죠? <br /> <br />요즘 많은 사람들이 쓰는 단어 '소.확.행'입니다. <br /> <br />거창한 성공보다 삶의 소소한 부분에서 행복을 느끼면서 살겠다는 사람들이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늘고 있죠. <br /> <br />정부가 오늘 2023년까지 우리 국민 삶의 만족도를 OECD 평균으로 높이겠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OECD가 격년으로 조사하는 '삶의 만족도 지수'는 각 개인이 얼마나 삶에 만족하며 사는지를 '0'에서 '10'으로 표현하는데요. <br /> <br />지난 2017년 기준으로 OECD 평균은 6.5였지만, 우리나라는 5.9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도 우리와 같은 5.9였고, 가장 지수가 높은 나라는 7.5를 기록한 노르웨이와 덴마크 등 북유럽 국가였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정부는 2023년까지 OECD 평균에 가까운 프랑스나 영국 국민 수준으로 삶의 만족도가 나오도록 목표를 잡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위해 2023년까지 332조 원의 재정을 투입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자세한 내용, 한영규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사회보장 2차 기본계획은 '국민 모두가 함께 잘사는 사회'를 중장기 비전으로 제시하고, 현재 OECD 28위 수준인 삶의 만족도를 2023년까지 OECD 평균 수준인 20위로 높이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배병준 /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정책실장 : 현재 OECD 28위 수준인 삶의 만족도를 2023년에 OECD 평균 수준인 20위, 2040년에는 10위까지 높이도록 노력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이를 위해 고용·교육, 소득, 건강, 사회서비스를 4대 핵심 분야로 정해 주요 목표를 설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고용·교육 분야에서는 저임금 근로자 비중을 22.3%에서 18.0%로 낮추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연간 2천 시간이 넘는 노동시간은 천8백 시간대로 줄인다는 목표입니다. <br /> <br />소득보장 분야에서는 소득수준이 중위소득의 50% 이하인 빈곤 가구의 비율을 17.4%에서 15.5%로 낮추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건강보장 분야에서는 건강 수명을 73세에서 75세로 높이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회서비스 분야에서는 GDP 대비 사회서비스 투자 비중을 5.7%에서 2023년 OECD 평균 수준인 7.4%로 높이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2차 사회보장 기본계획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약 332조 원의 재정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212223748064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