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여러분 안녕하십니까. <br> <br>문재인 정부의 실책이 잇따르면서 지지율이 오랐던 자유한국당은 오늘도 몸살을 앓았습니다. <br> <br>광주민주화 운동의 의미를 깎아내린 국회의원 3명 때문입니다. <br><br>자유한국당은 이들 3명에 대한 징계 절차를 시작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당사 앞에서 징계 반대 항의집회가 열리면서 결정을 내일로 미뤘습니다. <br> <br>첫 소식 박민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한국당 당사 앞에서 김진태 의원을 지지하는 태극기부대가 항의 집회를 열었습니다. <br> <br>김진태, 이종명, 김순례 의원의 징계를 논의할 당 윤리위 회의를 저지하기 위한 겁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윤리위 제소 당장 취소하라. 취소하라 취소하라 취소하라." <br> <br>항의 집회가 이어지자 당 윤리위는 회의 장소를 급하게 바꿨고, 윤리위원들은 문자 폭탄에 시달렸습니다. <br> <br>[김영종 / 자유한국당 윤리위원장] <br>"간밤에 한 1500통 정도 문자를 받고 전화는 한 1, 2초에 한 번씩 오고해서 아예 전화기를 꺼놨습니다." <br> <br>우여곡절 끝에 회의를 열었지만 결론은 내지 못했습니다. <br><br>김용태 사무총장은 "징계 수위에 이견이 있어 내일 아침 다시 회의를 열기로 했다"고 말했습니다. <br><br>윤리위가 내릴 수 있는 징계는 경고, 당원권 정지, 탈당권유, 제명 등 네가지입니다.<br> <br>당원권 정지 이상의 징계를 받으면 전당대회에 출마한 김진태, 김순례 의원의 후보 자격이 박탈됩니다. <br> <br>김진태 의원에 대해서는 당시 행사에 참석하지 않은 점 등이 고려돼 경고에 그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김진태 의원은 당규에 전대 출마 후보자에 대해서는 선거가 끝날 때까지 윤리위에 회부할 수 없다고 규정되어 있다며 반발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민우입니다. <br> <br>minwoo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이호영 박희연 <br>영상편집 : 이승근 <br>그래픽 : 권현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