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올해 첫 고용성적표가 나왔는데 1월에는 낙제 점수였습니다. <br> <br> 19년 만에 실업자 숫자가 가장 많았습니다. <br> <br> 우리 경제의 중심축인 제조업 그리고 30,40대의 일자리 사정이 심상치 않습니다. <br> <br>이현수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실업급여 수령 방식을 설명듣는 구직자들로 강의실이 가득 찼습니다. <br> <br> 지난달 실업자는 1년 전보다 20만4천명 늘어난 122만 4천 명을 기록했습니다. <br><br>1월 기준으로 세계 금융위기 직후인 지난 2000년 이후 19년 만에 최대치입니다. <br> <br>[A 씨 / 구직자] <br>"일일 근로자들 현장이 얼어붙었어요. 경기가 안 좋아서… " <br> <br>[B 씨 / 구직자] <br>"지원한다고 해도 보통 떨어지는 게 대부분이니까, 알바같은 걸 많이 합니다." <br><br>지난달 전체 취업자는 2623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만9천명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. <br><br> 정부가 올해 목표로 세운 월 평균 고용 증가 15만 명을 한참 밑도는 수준입니다. <br> <br> 양질의 일자리로 평가받는 제조업 취업자 수는 17만 명 줄었고 우리 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30,40대 취업자 역시 급감했습니다.<br> <br>[홍남기 / 경제부총리] <br>"무거운 책임감을 느끼면서 국정운영 최우선 순위를 일자리 여건 개선에 두고 모든 정책 역량을 집중해나가겠습니다." <br> <br> 정부는 당초 공공기관 일자리 2만3천개에서 2천개를 추가한다고 밝혔지만, 세금을 통한 단기 처방에 그칠 것이란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이현수입니다. <br> <br>soon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한일웅 <br>영상편집 : 장세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