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세계 최대 규모 과학프로젝트, <br><br>인공태양 기술의 핵심은 1억도인 온도를 일정기간 유지하는 겁니다. <br><br>국내 연구진이 이 핵심기술 개발에 성공했습니다. <br> <br>박수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<br>2025년 완공 목표로 프랑스에 지어지고 있는 축구장 60개 크기의 국제핵융합실험로. <br> <br>태양처럼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인공태양 설비인데 한국을 포함한 7개국이 공동으로 참여한 세계 최대 규모 과학 프로젝트입니다. <br> <br>인공태양 기술의 핵심은 태양 중심 온도보다 7배 뜨거운 1억 도 이상 상태를 300초 이상 유지하는 것. <br> <br>한국 연구진이 이런 상태를 1.5초 동안 유지하는데 성공했습니다. <br><br>핵융합에너지는 원자력에너지에 비해 7배 이상의 에너지를 내는데, 바닷물을 연료로 쓰기 때문에 자원 고갈 걱정이 없고, 대기오염물질도 나오지 않아 문명의 미래를 열 꿈의 에너지라 불립니다. <br> <br>하지만 태양의 방식을 사람의 기술로 따라잡으려면 갈 길이 멉니다. <br> <br>[윤시우 / 국가 핵융합연구소 센터장] <br>"올해는 1억 도를 1.5초 정도 달성했지만 내년에는 장치를 개선하고 운전기술도 개발해서 10초 이상 유지하는 게 목표입니다." <br> <br>지구에서 안전하고, 영구적인 태양 에너지를 만들어내기 위한 인공태양 기술은 2050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 <br>박수유 기자 aporia@donga.com <br>영상편집 배영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