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위험한 주행' 전동 킥보드 사고 매년 200여 건 / YTN

2019-02-14 4 Dailymotion

전동 킥보드나 전동 휠 타시는 분들을 보면 위험천만해 보일 때가 많은데요. <br /> <br />대부분 보호장비를 착용하지 않고 도로나 인도 구분 없이 달리기 때문인데, 실제로 한 해 2백 건 안팎의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백종규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동 킥보드를 탄 남성이 인도를 가로지르고, 자전거 도로를 거침없이 달리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캠퍼스 안에서도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을 타는 학생을 쉽게 만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거의 대부분 헬멧과 같은 안전 장비를 착용하지 않았는데, 시속 20km 이상의 속도로 달리기 때문에 안전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최근 3년 동안 '소비자 위해 감시시스템'에 접수된 사고 사례는 690건이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얼굴과 머리를 다치는 경우가 많았고, 지난 2017년에는 4명이 숨지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사고 피해자 : 걸려서 중심 잃고 넘어지면서 타박상과 찰과상 입었고요. 광대뼈가 실금이 가고 찢어져서 몇 바늘 꿰맸고요.] <br /> <br />소비자원이 직접 현장 조사해보니 이용자 92%는 보호장비를 착용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사고를 부르는 또 하나의 원인은 차로에서만 탈 수 있어 이용자들이 위험에 노출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전동형 킥보드는 도로교통법상 차량이기 때문에 도로로만 다닐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용자들 10명 가운데 6명은 인도나 자전거 도로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자전거와 최고 속도가 비슷한 만큼 일부 국가들처럼 주행 공간을 자전거도로까지 넓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[김병법 / 한국소비자원 안전감시국 생활안전팀장 : (일부 지자체에서) 공원에서도 제한적 이용이 가능하도록 관련법이 개정됐지만, 자전거 도로 등은 여전히 진입이 금지돼 있어 주행공간 현실화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] <br /> <br />소비자원은 전동 킥보드 같은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의 보호장비 착용 단속을 강화하고 이용자들에게도 안전 교육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백종규[jongkyu87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21420061167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