원론적 합의에 그쳤던 지난해와 달리 이번 '하노이 선언'은 구체적이고 실질적이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실제 어떤 내용이 담길지 관심인 가운데 미국은 완전한 비핵화 없이는 제재해제도 없다는 입장을 강조하며 북한을 압박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연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은 우리 국회 대표단을 만나, 긍정적인 의견을 많이 들어 영감을 받았고, 여러분이 옳았으면 좋겠다며 2차 회담에 대한 회의적 시각을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우려가 나오는 건 결국 원론적 합의에 그쳤던 싱가포르 선언과 그조차도 북한이 적극적 입장을 보이지 않았다는 평가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결국, 2차 회담의 성과를 결정짓는 것 역시 '하노이 선언'이 어떤 내용을 담느냐인데 '하노이 선언'에는 새로운 북미 관계 수립과 항구적 평화정착, 한반도 비핵화 등 '싱가포르 선언'을 구체적으로 이행하는 내용이 담길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북미 관계 개선과 관련해서는 연락사무소 설치가 유력하게 점쳐집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국제적 위상을 높일 수 있고, 미국은 북한을 비핵화 협상에 묶어둘 수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평화체제와 관련해서는 어떤 형태로든 종전선언이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인데,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연계해서 합의가 이루어질 가능성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가장 중요한 비핵화는 까다로울 수밖에 없는데 전문가들은 북한이 실질적 검증을 수용하느냐가 비핵화 조치의 관건이라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또 그에 대한 상응 조치로는 낮은 단계에서는 인도적 지원이, 더 나아가서는 일부 제재의 면제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'하노이 선언'에 담길 내용을 조율할 다음 주 실무 협상을 앞두고 해리 해리스 주한 미 대사는 비핵화까지는 대북 제재가 유지될 거라고 강조하며 장외 전을 벌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는 상징성을 뛰어넘는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, 다음 주 실무협상이 이번 회담의 주요 고비가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한연희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21422323024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