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사학법 개정 논의 불 붙나?... 사립학교 "자율권 침해" 반발 / YTN

2019-02-14 2 Dailymotion

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사학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사립학교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잠잠했던 사학법 개정 논의에 다시 불을 지핀 것인데 사립학교 측은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재윤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은 현행 사립학교법을 사립대학과 초중고로 이원화하는 사학법 개정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05년과 2007년 사학법 파동이 정치적 갈등을 불러왔고 결국 엉거주춤한 법체계를 갖추게 됐다면서 후진성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조희연 / 서울시교육감 : 사립학교를 둘러싼 도도한 시대적 변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. 그 시대적 변화라고 하는 것은 사립학교를 바라보는, 사학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기대, 요구, 눈높이가 달라지고 있다...] <br /> <br />전국 17개 시도 교육감들이 정리한 사학법 개선 제안에는 사립학교의 채용절차 공정성 제고와 근무조건 개선 등이 포함됐습니다. <br /> <br />법인의 책무성을 높이기 위해 임직원에 공직자 행동강령을 적용하고 임원 자격요건을 강화할 것을 제안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밖에 사립학교에 인사위 설치 관련 법령의 정비와 학교운영위원회의 실질적 기능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[임재홍 / 방송대 법학과 교수 : 교육청에서 사립학교에 대한 정책을 펴는 전담부서를 만들고 단기간에 결론을 내기보다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정책을 펴는 것이...] <br /> <br />이에 대해 사학 측은 사학에 대한 공공성 강화 요구는 재정지원을 이유로 들고 있지만 사학이 원한 것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의 평준화, 의무교육 정책에 사학을 강제로 끌어들이면서 문제가 시작됐다는 주장입니다. <br /> <br />[이명웅 / 변호사 : 사립학교가 사립으로서 자율성을 가지려면 학생들을 선발하고 수업료를 책정해서 받을 수 있어야 하는데 평준화를 하고 의무교육을 함으로써 수업료를 통제했기 때문에...] <br /> <br />올해 고교 무상교육 실시를 시작으로 2021년 초중등 교육이 공교육 틀로 편입될 계획이어서 공공성 강화를 위한 법제도 정비는 미룰 수 없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사학 측은 법으로 보장된 자율권 축소는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어 사학법 논란이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재윤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21506270271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