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또 오보청 논란 빚은 기상청...무엇이 문제인가? / YTN

2019-02-15 18 Dailymotion

■ 진행 : 나연수 앵커 <br />■ 출연 : 이덕환 / 서강대 과학 커뮤니케이션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결국 오보청이란 단어가 다시 등장했습니다. 호우든 태풍이든 폭설이든 때마다 반복되는 기상청의 오보, 무엇이 문제이고 개선 방법은 없는지,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서강대학교 과학커뮤니케이션학과 이덕환 교수 전화로 연결되어 있습니다. 교수님, 안녕하세요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 <br />오늘 아침 출근길 고생하신 분들이 많았습니다. 교수님이 보시기에는 아침에 어떤 부분이 가장 문제였나요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많이 고생하셨죠. 제일 직접적인 문제는 눈이 온 거죠. 출근 시간에 딱 맞춰서. 정말 악재의 연속이었습니다. 그거를 지자체가 눈을 치우지 못한 게 직접적인 원인이었고요. <br /> <br />지자체가 준비를 못했던 이유로 기상청의 오보를 지목하고 있습니다. 기상청도 참 악재가 겹친 것 같아요. 어제저녁에 오늘 아침에 눈이 올 거라는 걸 충분히 예상하지 못했고요. <br /> <br />그다음에 새벽에 눈이 온다는 사실을 파악을 했는데 지자체에다 연락할 방법이 없었던 거죠, 실질적으로. 그렇게 악재가 겹치면서 많은 시민들이 어려움을 겪었는데 그 비난이 기상청으로 쏟아지고 있는 겁니다. 이게 저희가 한두 번 겪은 일이 아니죠. <br /> <br /> <br />일단 예보가 기상청에서 나왔으니까요. 기상청도 최대한 정확한 예보를 하고 싶을 텐데 우리 예보 기술이 여기에 미치지 못하는 겁니까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글쎄요, 자꾸 예보를 정확하게 했으면 하는 게 국민들의 바람이죠. 희망사항인데 우리의 현실이 굉장히 안타깝습니다. 우리의 지형적인 특성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북쪽에는 북한이 있고요. 그러니까 우리가 예보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영역이 굉장히 좁아요. <br /> <br />그런 한계가 있는 데다가 지금 사실은 눈 예보라는 것은 근본적으로 굉장히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. 눈하고 비가 예보상에서 그렇게 명백하게 구분이 되는 게 아니에요. <br /> <br />그러니까 비가 내릴지 눈이 내릴지를 기상청에서 알아내기가 굉장히 어려운 것이고 또 이게 눈이 오느냐 안 오느냐도 어렵지만 얼마나 올 것이냐 하는 것을 예보하는 것은 정말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어려운 일입니다. 그런데다가 또 기상청 내부적으로도 문제가 있었던 것 같아요. <br /> <br /> <br />어떤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190215220245624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