탄력 근로 단위기간 확대를 논의하는 사회적 대화가 오늘 마무리됩니다. <br /> <br />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오늘 오후 열리는 마지막 회의에서 합의가 되든 안 되든 그동안의 논의 결과를 국회로 넘길 예정입니다,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장하 기자! <br /> <br />오늘 마지막 회의가 열리는데, 합의 가능성이 있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합의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, <br /> <br />탄력근로제 확대 적용 문제를 논의하는 경사노위 산하 노동시간 제도 개선위원회는 지난해 12월 출범해 그동안 7차례 전체회의를 열었는데요. <br /> <br />오늘 오후 8차, 마지막 전체회의를 엽니다. <br /> <br />핵심 쟁점은 현재 최장 3개월인 탄력근로제 단위 기간의 확대 여부입니다. <br /> <br />경영계는 주 52시간 근무를 지키려면 탄력 근로제 단위 기간을 최장 1년으로 늘려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지만, 노동계는 임금 감소와 건강권이 침해된다며 반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경영계는 현재 최장 3개월인 탄력 근로제를 도입하려면 근로자 대표와 합의해야 하고, 사전에 근무표를 짜야 하는 등 도입 요건이 까다롭다며 이를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노동계는 도입 요건 완화는 안 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경사노위는 오늘 회의에서 막판 타결을 시도하겠지만, 합의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좀 더 우세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오늘 합의가 안 되면 앞으로 일정은 어떻게 됩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사노위 산하 노동시간개선위원회 이철수 위원장은 앞서 합의 여부와 상관없이 오늘 전체회의를 끝으로 더는 탄력 근로 확대 논의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철수 위원장은 오늘 전체 회의가 끝나면 그동안 진행된 논의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경사노위 논의 결과는 국회로 넘어가게 됩니다. <br /> <br />국회는 임시 국회를 열어 경사노위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가 논의를 한 뒤 탄력 근로 확대를 위한 법 개정에 들어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이미 지난해 11월 여·야·정이 탄력 근로제 확대 입법에 합의했기 때문에 국회에서 법안 통과는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민주노총이 다음 달 6일 하루 총파업을 예고하는 등 강력히 반발하고 있어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장하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218112753394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