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탄력근로제를 최대 6개월까지 늘리기로 한 어제 합의를 두고 노-노갈등이 불거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대화에 참여했던 한국노총과 참여하지 않은 민노총이 서로를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김단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현장음] <br>"노동개혁 저지하자. 노동개혁 저지하자." <br> <br>민노총 소속 조합원 4천여 명은 광화문에서 집회를 열고 행진했습니다. <br> <br>탄력근로제 6개월 확대 합의에 대해 민노총은 강력히 반발했습니다. <br> <br>경사노의 합의안은 "정상적인 회의가 아닌, 노사정 대표자끼리 시도한 야합"이라는 겁니다. <br> <br>경사노위 대화에 참여한 한국노총에 대해서도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[김명환 / 민노총 위원장] <br>"한국노총이 손잡아 만든 탄력근로제 기간 확대를 민노총은 결코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." <br> <br>한국노총은 대화조차 참여하지 않은 민노총을 꼬집었습니다. <br> <br>[김주영 / 한국노총 위원장] <br>"대화의 길이 열려있고 참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참여하지 않고 반대만 하는 것은 무책임의 극치라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김 위원장은 반대만 하다가 합의 안 된 내용이 국회에서 개악될 수 있었다며 대화 참여는 최선이었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양대 노총이 탄력근로제 합의를 놓고 비판의 날을 세우면서 노노갈등으로 번지는 모양새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단비 입니다. <br> <br>kubee08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한효준, 조세권 <br>영상편집: 장세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