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전국 곳곳에 흉물처럼 버려진 폐가가 126만 채에 이르는데요. <br> <br>시신이 발견되는가 하면 화재가 잇따르고 있는데 뚜렷한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현우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콘크리트 잔해 너머로 폐가 한 채가 위태롭게 서 있습니다. <br> <br>그제 오후, 이 집을 철거하던 인부가 백골 상태의 시신을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습니다. <br><br>"시신이 발견된 폐가 안입니다. 오랫동안 시신이 방치된 탓에 악취가 코를 찌르고, 한켠엔 이렇게 술병들이 쌓여 있습니다." <br> <br>이 집은 5년이 넘도록 비어있는 상태였는데, 경찰은 이곳에 머물던 노숙인이 2년 전쯤 숨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인천 서구청 관계자] <br>"커뮤니티 센터를 짓기 위해 그 오래된 건물을 매입을 했는데 보상이 늦어져서 올해 철거하는 과정에서 그런 일이 발생한 걸로." <br> <br>오랫동안 방치된 폐건물도 골칫거리입니다. <br> <br>광주에선 폐업한 요양병원에서 흉가체험을 하던 인터넷방송 진행자가 백골 시신을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습니다. <br> <br>충북 청주에서도 빈 여관 건물에서 불이 나 노숙자 3명이 숨지거나 다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주민들은 불안감을 호소합니다. <br> <br>[폐가 인근 주민] <br>"외국인들이 (폐가에) 들락날락했는데. (국적은) 방글라데시 아니면 인도. 이 주위에선 깜짝 놀랐죠." <br><br>폐가는 꾸준히 늘어 2017년 기준 126만 호에 이릅니다. <br> <br>폐건물은 현행법상 통계조사 대상이 아니어서 몇 곳인지 파악조차 안 됩니다. <br> <br>1년 이상 방치된 폐가의 경우 지방자치단체가 철거할 수 있지만, 폐건물은 손을 댈 방법도 없습니다. <br> <br>[공정식 /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] <br>"감시나 출입이 없어서 우범자가 쉽게 드나들 수 있고 범죄가 이뤄질 수 있는 좋은 환경이라는 게 (폐가와 폐건물의) 특징입니다." <br> <br>도시 미관을 해치는 건 물론 범죄와 화재 위험까지, 골칫거리로 전락한 폐가와 폐건물에 대한 대책이 시급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현우입니다. <br> <br>정현우 기자 edge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조세권 정금수(스마트리포터) <br>영상편집 : 이혜리 <br>그래픽 : 손윤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