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지금 하노이에선 북미 실무진들이 합의문 초안을 놓고 막판 협상을 벌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하노이 시내 경비도 한층 강화됐습니다. <br> <br>현장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남준 기자! <br><br>[질문] 스티븐 비건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김혁철 대미 특별대표의 의제협상은 진전이 있습니까? <br><br>[리포트]<br>김혁철 북한 대미 특별대표가 한국시각으로 오후 4시 반경 의제 협상을 재개하기 위해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의 숙소인 '뒤 파르크 호텔'로 찾아왔습니다. <br> <br>합의문 초안 작성을 위한 막판 줄다리기로 보입니다. <br><br>하지만 실무선에서 할 수 있는 의견접근은 사실상 끝났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1차 북미정상회담 때처럼 결국 양 정상이 만나 최종담판을 통해 합의문을 도출할 것이란 얘기입니다. <br> <br>외신들은 트럼프 미 대통령이 내일 베트남 하노이로 출발해 26일 저녁에 도착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. <br> <br>촉박한 시간 탓에 '맹탕회담'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연일 낙관론을 펼치고 있습니다. <br> <br>백악관 역시 2차 북미정상회담 기념주화까지 공개하며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] 의전과 경호 준비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? <br><br>오늘 북한 고려항공 수송기로 호위사령부 소속 경호원 100여 명과 장비도 하노이에 도착했습니다. <br> <br>북한과 미국의 경호 작전은 벌써 시작된 겁니다. <br><br>북측의 의전·경호 실무팀은 아침부터 정상회담장으로 유력한 소피텔 메트로폴 호텔을 찾아 현장을 점검했습니다. <br> <br>100여명의 김 위원장 경호원들도 김 위원장의 숙소로 유력한 멜리아 호텔을 샅샅이 훑으며 경호 동선을 확인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위원장님 혹시 여기 오시는 건가요?" <br> <br>또 김창선 부장이 불만을 제기했던 엘리베이터도 새로 점검하는 모습이 포착됐습니다. <br> <br>트럼프 대통령의 숙소로 유력한 JW메리어트 호텔에는 백악관 비밀 경호국 요원이 집결해 사전 점검을 벌였습니다. <br> <br>두 정상 숙소 주변과 회담장 그리고 호안끼엠 호수 주변엔 안전 펜스가 설치되는 등 경계가 한층 강화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베트남 하노이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조승현 이기상 추진엽 (베트남) <br>영상편집 : 배시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