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이 이제 딱 열흘 남았는데요. <br> <br>벌써 봄이 찾아온 걸까요. <br> <br>기후변화에 민감한 북방산개구리가 벌써 알을 낳았습니다. <br> <br>이다해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리산 계곡물이 힘차게 쏟아지고, 쌓인 낙엽들 사이로 파릇파릇 새싹이 돋아났습니다. <br> <br>계곡 한편에는 겨울잠에서 깬 북방산개구리가 낳은 알덩이가 가득합니다. <br><br>[현장음] <br>"작년 겨울에 워낙 추워서 산란이 늦었는데 올 겨울은 따뜻해서…" <br><br>날씨에 민감한 북방산개구리의 산란시기는 기후변화를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. <br><br>최근 10년간 북방산개구리의 산란 시기는 2월에서 3월 초까지 한 달 이상 차이가 났습니다. <br> <br>올해 산란일은 10년 전보다 3일 빠르지만 5년 전보다는 18일이 늦었습니다. <br><br>산란일이 바뀌면 먹이가 되는 곤충이 나타나는 시기와 어긋나 개구리가 생존하기 힘듭니다. <br> <br>[박은하 /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박사] <br>"기후변화로 인해 변덕스러운 겨울 날씨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국립공원 동식물들의 생물 계절 역시 변화하고 있는 걸 알 수 있습니다." <br> <br>기후변화가 동물들의 생체 리듬은 물론 먹이사슬마저 망가뜨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> <br>cando@donga.com <br>영상제공: 국립공원공단 <br>영상편집: 장세례 <br>그래픽: 권현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