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합계출산율이 1명에도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여성 1명이 평생 아기를 1명 미만으로 낳는다는 뜻인데, 인구가 줄어드는 속도가 예상보다 훨씬 빨라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신윤정 기자! <br /> <br />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.98명으로 나왔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통계청의 인구동향조사 결과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.98명으로 집계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7년에는 1.05명으로 가까스로 1명 선은 지켰었는데, 1년 사이에 결국 1명대가 무너졌습니다. <br /> <br />0.98명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지난 1970년 이후 최저치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합계출산율은 지난 1971년에 4.54명으로 정점을 찍고 1987년 1.53명까지 꾸준히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1990년대 초반에 1.7명 수준으로 잠시 올랐다가 다시 감소로 돌아섰고 급기야 이번에 1명 선 아래까지 추락한 겁니다. <br /> <br />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로, 인구 유지를 위해서는 2.1명 정도는 돼야 합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우리나라 총인구가 감소하는 시점도 기존에 전망한 오는 2028년보다 빨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동안 출산 장려 정책은 계속 추진돼 왔는데 힘을 발휘하지 못한 셈이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래서 정부의 고민이 더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인구 규모가 중요한 이유는 15살에서 64살 사이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'생산가능인구'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생산가능인구가 줄면 생산과 소비가 축소되고 자연히 경제 위기가 초래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06년부터 갖가지 출산 장려책이 쏟아져 나왔지만, 현실적으로 오는 2020년까지 합계출산율 1.5명을 회복하겠다는 목표는 달성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정부도 저출산 대책을 삶의 질과 성 평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한 해 출생아 수가 30만 명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집중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출생아 수 역시 통계작성 이후 역대 최저치였지만, 32만 6,900명으로 30만 명 선은 지켰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사망자 수는 29만 8천9백 명으로 1년 전보다 만 3천4백 명이 증가하며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지난해 출생아에서 사망자를 뺀 인구 자연증가는 2만 8천 명에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경제부에서 YTN 신윤정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22713413939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