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임시정부 100년...'대한민국' 국호의 탄생 / YTN

2019-02-28 17 Dailymotion

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. <br /> <br />YTN은 오늘부터 다섯 차례에 걸쳐 임시정부의 발자취를 정리하고 그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에서 3·1 운동의 열기가 들불처럼 번져나가는 가운데 임시정부는 낯선 땅, 중국 상하이에 첫 뿌리를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최민기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919년 4월 11일. <br /> <br />100년 전, 우리 역사상 첫 민주 공화 정부의 탄생을 알리는 임시헌장이 공포했습니다. <br /> <br />상하이의 번화가에서 골목으로 들어서는 좁은 주택가에는 당시 독립을 열망했던 우리 임시정부의 자취가 남아있습니다. <br /> <br />상하이에 남은 마지막 임시정부 청사. <br /> <br />문을 열면 태극기와 함께 김구 선생의 흉상이 방문객을 맞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집무실도 밀랍인형과 함께 재현돼 있고, 침실과 부엌도 그때 모습 그대로 남아있습니다. <br /> <br />19세기부터 상하이는 이미 영국과 프랑스 등 세계 각지에서 몰려든 열강과 통상하는 동북아 거대 교역항으로 번성하고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도시는 외국인이 치외법권을 누리는 행정자치 구역인 조계지로 분할됐는데, 그 가운데 프랑스 조계지는 망명객에게 호의적이었고 일본의 힘도 크게 미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독립운동을 전개하기 최적의 무대였습니다. <br /> <br />[쑨커즈 / 상하이 푸단대 교수 : 상하이 프랑스 조계지에 임시정부가 수립한 후 다른 지역에 살고 있던 한인들이 많이 이곳으로 이주했습니다. 프랑스 조계지의 안전하고 자유로운 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대한민국이란 국호도 이때 탄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제에 빼앗긴 나라 대한제국을 다시 찾는다는 의미에서 '대한'을 따왔지만, 왕이 통치하던 과거는 단절하고 인민이 주인임을 천명하기 위해 제국은 민국으로 고쳐 나라 이름을 짓습니다. <br /> <br />[김희곤 / 안동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: '대한민국은 민주 공화제로 함'으로 해서. 모든 국민이 남녀노소 빈부 차별 없이 모두가 참정권을 갖는 사회를 1919년 4월 11일 헌법에 명시하게 됩니다.] <br /> <br />[장석흥 / 국민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: 투쟁적인 관점이 아닌 우리 역사 발전 면에서 놓고 봤을 때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민주주의와 근대화의 길을 열어간 그런 의의가 있다고 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독립운동과 함께 근대화, 민주화의 기틀을 닦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, 목숨 건 투쟁을 이어간 애국지사들 손에 의해 우리 땅이 아닌 상하이에서 태동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30105545059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