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재인 대통령이 오늘 3·1절 100주년 기념사를 통해, 다가오는 새로운 100년을 평화와 번영의 시대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밝힐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또 '신 한반도 체제'도 천명할 계획이었는데요. <br /> <br />2차 북미정상회담이 성과 없이 끝난 상황을 풀 방안이 담길지도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임성호 기자! <br /> <br />정부가 올해 3·1 운동 100주년에 큰 의미를 두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오늘 문 대통령의 기념사에 어떤 내용이 포함될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3·1절 기념사는 광복절 기념사와 함께 대통령의 한 해 연설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이번에는 3·1 운동·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해 자신감을 가지고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자는 메시지가 담길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달 26일 서울 효창공원 독립운동가 묘역을 참배한 뒤, 친일을 청산하고 독립운동을 제대로 예우하는 게 정의로운 대한민국의 시작이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발언이 3·1절 기념사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문 대통령은 또 과거 식민지에서 벗어나 놀라운 경제 성장과 민주주의를 이룬 나라로서 자부심을 가지자는 당부도 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더 관심 가는 대목은, 이번에 문 대통령이 '신 한반도 체제'를 밝힐 예정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2차 북미정상회담 성과가 전제된 것이었는데, 이 부분은 어떻게 될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'신 한반도 체제' 구상은 문 대통령의 3·1절 기념사에서 중요한 내용이 될 거라고 청와대가 강조해왔는데요. <br /> <br />앞서 문 대통령이 밝힌 '신 한반도 체제'는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질서가 재편되는 과정에서, 우리가 주도적으로 평화와 번영을 준비하자는 내용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2차 북미정상회담의 성공 이후 북한의 개방 상황까지도 가정한 것이었는데요. <br /> <br />비록 하노이 회담 합의가 무산됐지만, '신 한반도 체제'의 기본정신과 실현 의지는 변하지 않았다는 게 어제 청와대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오늘 기념사에도 '신 한반도 체제' 구상의 기본 기조는 그대로 담길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어젯밤 늦게까지도 기념사에 담을 '신 한반도 체제' 구상을 다듬고 또 다듬었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 대통령은 또 북미 중재자로서 적극적으로 북미 대화를 촉진하고,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3·1절 기념사에 일본에 대해서 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301100214681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