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‘김정은 위원장이 미국과의 거래의 의욕을 잃은 느낌이었다.’ <br><br>최선희 부상은 어제 회견에서 미국이 기회를 놓쳤다며 이렇게 엄포를 놨습니다. 하지만 1차 회담과 달라진 트럼프식 벼랑끝 협상에 대응할 카드를 준비하지 못했고, 결국 빈손으로 돌아가게 됐다는 분석이 많습니다. <br><br>이어서 강병규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이례적으로 질의응답에 나선 최선희 외무성 부상은 회담 결렬에 대한 김정은 위원장의 소회를 전했습니다. <br> <br>[최선희 / 북한 외무성 부상] <br>"국무위원장 동지께서 미국에서 하는 미국식 계산법에 대해서 이해하기 힘들어하시지 않았나…" <br> <br>의욕도 떨어진 것 같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[최선희 / 북한 외무성 부상] <br>"국무위원장 동지께서 앞으로 조미 거래에 대해서 좀 의욕을 잃지 않으시지 않았는가…" <br> <br>김 위원장의 말이나 기분을 참모가 언론에 공개하는 것은 드문일로 김 위원장이 의중이 담긴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미국이 천재일우의 기회를 놓쳤다며 엄포도 놨습니다. <br> <br>[최선희 / 북한 외무성 부상] <br>"앞으로 이러한 기회가 다시 미국 측에 차려지겠는지 여기에 대해선 장담하기 힘듭니다." <br> <br>리용호 외무상은 북한 협상안이 최상의 방안이라며 원칙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리용호 / 북한 외무상] <br>"우리의 이러한 원칙적 입장에는 추호도 변함이 없을 (것입니다.)" <br> <br>겉으로는 강경하지만 북한 내부적으로 미국의 요구사항에 대한 검토가 시작될거라는 게 전문가 관측입니다. <br> <br>[고영환 / 전 북한 외교관] <br>"어느 정도까지 내놓아야 미국이 만족할까 그것이 가장 큰 고민이 아닐까 싶고요. " <br> <br>당분간 냉각기를 갖겠지만 실무협상단을 재정비한 뒤 협상에 대비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병규입니다. <br><br>ben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이승헌 김용균 김찬우(베트남) <br>영상편집: 박형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