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·1 운동 100주년을 맞아 국내에 남은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 현장을 찾아가는 시간. <br /> <br />오늘은 부산 기장군 일광면에 있는 '광산마을'을 소개합니다. <br /> <br />일제가 우리의 자원을 약탈하기 위해 광산을 개발하며 형성된 곳인데, 많은 조선인이 차별받고 핍박당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대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저는 광산마을 입구에 나와 있습니다. 여기 있는 안내판이 이곳이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 현장이라는 걸 보여줍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현재 마을 모습은 어떤지 직접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마을에 들어서자 비슷한 지붕을 얹은 채 빽빽하게 모여있는 건물들이 모습을 드러냅니다. <br /> <br />지난 1930년 구리광산이 개발되면서 형성된 부산 기장군 일광면의 광산마을. <br /> <br />강제동원된 조선인들이 5가구씩 모여 살던 비좁은 숙소와 공동화장실은 일제 핍박의 흔적으로 남았습니다. <br /> <br />마을을 조성할 때 쌓은 축대 위에는 일본인 관리자들이 쓰던 집도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최원순 / 부산 기장군 일광면 원리 이장 : 여기는 보시다시피 도배만 했을 뿐이지 본모습 그대로 보존돼 있습니다. (여기는 어떤 공간이었던 건가요?) 여기는 확실히는 모르지만, 옷장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 나무 등 보시면 손댄 것 없이 그대로 보존돼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광산 사무소 건물은 외형부터 지어질 당시와 거의 다를 게 없습니다. <br /> <br />[주영민 /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학예부장 : 슬레이트, 이건 새로 지붕을 얹은 것이고요. 이 밑에 보면 함석판이 있습니다. 함석판 위에 슬레이트를 얹은 것을 봐서는 일제시대 때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입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조선인들이 중노동에 시달렸던 채굴 현장에선 당시 모습을 찾아보기 힘듭니다. <br /> <br />일제의 자원 수탈이 이뤄졌던 일광광산 입구입니다. 채산성이 떨어지면서 지난 94년 폐광돼 입구는 이렇게 막혀있고, 지금은 광산에서 나오는 오염수를 정화하는 시설이 설치돼있습니다. <br /> <br />마을 곳곳에서도 방치된 채 허물어진 건물을 찾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이곳의 강제동원 기록은 대부분 구전에 의존하는데 이제 이를 기억하는 주민도 많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누가, 왜, 이곳에 끌려왔고 얼마나 많은 조선인이 수십 미터 지하 광산에서 목숨을 잃었는지를 설명할 기록이 없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최원순 / 부산 기장군 일광면 원리 이장 : 일제시대 때 계시던 분들은 다 돌아가시고 안 계시고요. 해방된 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303022205090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