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화물선이 부딪힌 광안대교가 오늘부터 안전진단에 들어갔습니다. <br> <br>일부 차종의 통행이 통제됐는데요. <br> <br>피해를 보는 시민들은 어디에다 하소연해야 할지 막막합니다. <br> <br>배영진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용호부두에서 출발한 화물선이 유람선을 치고 지나갑니다. <br> <br>닷새 전, 러시아 선적 화물선이 광안대교를 들이받기 전 충돌한 영상입니다. <br> <br>[배영진 기자] <br>"사고 당시 충격으로 유람선 구조물은 부서지고 갑판도 뒤틀려 이렇게 뜯겨 나갔습니다." <br><br>기관실에는 틈이 생겨 물까지 차오르는 등 유람선 곳곳에 사고 흔적이 남아있습니다. <br> <br>유람선에 타고 있던 선장과 직원 3명은 병원에 입원했습니다. <br><br>한 대에 40억 원에 이르는 유람선 3대는 부산 앞바다를 관광하는 요트투어에 활용돼 왔습니다. <br> <br>[최현종 / 유람선 선장] <br>"날씨도 좋아지고 하기 때문에 문의가 많이 들어오는데, 요트 운항이 안 된다고 말하고 있고요." <br><br>1.5톤 트럭이 광안대교를 진입하려고 하자 출입을 통제합니다. <br> <br>오늘부터 한 달간 부산시의 정밀 안전진단이 시작됐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광안대교 2개 진입 차로 중 1개만 통행이 가능하고, 1톤 초과 화물차와 12인승 초과 승합차는 통과할 수 없습니다. <br><br>이 때문에 최단 구간을 포기하고, 시내 구간으로 돌아가야 하는 화물차와 승합차 기사들은 분통을 터뜨립니다. <br><br>[진항식 / 화물차 운전자] <br>"(광안대교 통과 못 하면) 1시간은 더 들죠. 차가 밀리니까요. 뺑뺑 돌아가게 하면 기름값이라든지 이런 게 피해가 크죠." <br> <br>부산시와 유람선 업체는 이번 피해에 대해 우선 보험청구를 한 뒤, <br> <br>러시아 화물선을 압류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배영진입니다. <br> <br>ican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현승 <br>영상편집 : 이재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