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하청업체 노동자 사망사고가 났던 충남 태안화력발전소에서 또다시 노동자 끼임 사고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용균 씨 사망 사고 이후 2인 1조로 근무형태가 강화되면서 다행히 참변은 막았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이상곤 기자! <br /> <br />먼저 사고가 어떻게 발생한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사고는 어제 오후 태안화력발전소 2호기에서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청업체 소속 48살 윤 모 씨가 컨베이어벨트 석탄 공급 설비에 끼여 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 사고로 윤 씨는 갈비뼈 5개가 부러지는 등 중상을 입었습니다. <br /> <br />끼임 사고는 윤 씨가 컨베이어벨트로 이송되는 석탄을 연료 보관 장치에 분배해주는 설비를 점검하던 중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윤 씨가 설비가 접근하는 것을 보고 몸을 피했지만 피한 곳이 좁아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도 다행히 김용균 씨 사망 사고 이후 강화된 2인 1조 근무 원칙에 따라 주변에 있던 동료가 사고 직후 기계를 멈추면서 참변은 피할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2인 1조 근무로 참사는 피했지만 발전소 내부가 여전히 위험한 상태이라는 게 또다시 확인됐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고 김용균 씨 사망 사고가 발생한 지 3개월 만에 또다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사고로 다친 윤 씨는 발전소에서 20년 넘게 근무해왔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고 김용균 씨 시민대책위는 윤 씨가 내부 구조를 잘 알고 있어 더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청업체 측이 추정한 사고 원인도 현장 이동 통로 불안전과 안전 교육 미흡 등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사고 이후 회사 측의 대응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사고 발생 시간이 오후 2시 10분이었는데, 윤 씨가 발전소에서 병원으로 향한 건 1시간 40분 뒤인 오후 3시 50분이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하청업체는 해당 시간 동안 사고 보고를 위해 윤 씨의 다친 부위를 촬영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한국서부발전 측은 오후 5시 40분쯤 하청업체 측이 윤 씨를 병원으로 이송한 뒤 사고 내용을 보고해 병원 이송이 늦은 이유는 알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, CCTV 확인 결과 다친 윤 씨가 이동 통로가 아닌 곳으로 이동한 것으로 확인돼 노동자 판단 오류로 사고가 났다는 해명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충남 태안화력발전소 앞에서 YTN 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0305115321940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