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하청업체 노동자 사망사고가 났던 충남 태안화력발전소에서 또다시 노동자 끼임 사고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2인 1조로 근무형태가 강화돼 다행히 참변은 막았지만 사고 이후 다친 노동자를 곧바로 병원에 데려가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이상곤 기자! <br /> <br />먼저 사고 내용부터 정리해주시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사고는 어제 오후 제 뒤로 보이는 태안화력발전소 2호기에서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청업체 소속 48살 윤 모 씨가 컨베이어벨트 석탄 공급 설비에 끼여 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 사고로 윤 씨는 갈비뼈 5개가 부러지는 등 중상을 입었습니다. <br /> <br />끼임 사고는 윤 씨가 컨베이어벨트로 이송되는 석탄을 연료 보관 장치에 분배해주는 설비를 점검하던 중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도 다행히 김용균 씨 사망 사고 이후 강화된 2인 1조 근무 원칙에 따라 주변에 있던 동료가 사고 직후 기계를 멈추면서 참변은 피할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발전소 내부가 여전히 위험한 상태이라는 게 또다시 확인됐는데, 사고 이후 회사 측 대응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사고가 발생한 건 어제 오후 2시 10분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다친 윤씨가 병원으로 출발한 건 1시간 40분 뒤인 오후 3시 50분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청업체 측이 사고 보고를 위해 윤 씨의 다친 부위를 촬영했고, 병원 이송도 119구급차가 아닌 일반 승용차로 이뤄졌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한국서부발전 측은 하청업체 측의 사고 보고가 늦어 병원 이송이 늦은 이유는 알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사고 원인을 두고도 논란입니다. <br /> <br />하청업체 측이 추정한 사고 원인은 현장 이동 통로 불안전과 안전 교육 미흡, 노동자 판단 오류 등입니다. <br /> <br />윤 씨가 설비가 접근하는 것을 보고 몸을 피했지만 피한 곳이 좁아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는데, 한국서부발전 측은 CCTV 확인 결과 윤 씨가 이동 통로가 아닌 곳을 이용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는 사고 공간이 매우 협소해 언제든지 노동자들이 일하다 다칠 수 있었고 사고 발생 이후 이를 감추기 위한 행태가 또다시 반복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충남 태안화력발전소 앞에서 YTN 이상곤[sklee1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030514134618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