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대형 건설사들도 미세먼지와 전쟁을 치르고 있습니다. <br> <br>아파트 내부에 첨단 공기 청정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하지만 추가된 시설은 고스란히 소비자의 몫입니다. <br> <br>홍유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<br>입구부터 나오는 거센 바람이 미세먼지를 털어 냅니다. <br> <br>먼지투성이 외출복은 의류 청정기가 담당합니다. <br><br>내집 현관부터 거실까지 공기청정 시스템이 연달아 가동돼 미세먼지를 없애는 구조입니다. <br> <br>[홍유라 기자] <br>"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해서 내부 환기 시스템을 작동하는 제품입니다. 제가 보여드리겠습니다." <br> <br>[현장음] <br>"하이 ○○○. (말씀하세요.) 미세먼지. (현재 미세먼지 상태는 매우 나쁨입니다.) 환기 켜." <br> <br>[박일령 / A 건설 관계자] <br>"고객들의 미세먼지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기 때문에, 단계적으로 외부에서 들어오는 미세먼지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었고…" <br> <br>대형 건설사들은 앞다퉈 미세먼지 퇴치에 몰두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, 아파트에 추가되는 시설이 늘어날수록 소비자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[최승섭 / 경실련 부동산건설개혁본부장] <br>"고급 자재가 들어가고 고급 시설이 들어가면서 소비자가 이걸로 인해서 고분양가를 떠안을 우려가 있지 않나 그렇게 생각됩니다." <br> <br>재난 수준의 미세먼지에 대한 정부의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오지 않는다면 국민들의 경제적 부담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 A 뉴스 홍유라입니다. <br> <br>홍유라 기자 yura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영수 <br>영상편집 : 변은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