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동창리 복구? "매우 실망"...향후 협상은? / YTN

2019-03-07 16 Dailymotion

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가운데 북한의 탄도미사일 실험장인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의 복구 징후가 포착됐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복구가 맞다면 매우 실망이라는 뜻을 내비쳤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의 의도와 향후 북미 협상 전망 짚어보겠습니다. 김지선 기자! <br /> <br />북한이 동창리 서해 위성발사장 복구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회담이 결렬되자 미국을 압박하기 위한 것이라는 시각이 많은 것 같아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단 그럴 가능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동창리 서해위성 발사장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, ICBM 개발에 핵심 역할을 한 시설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본토를 압박하기 위한 시설인 만큼 북미 정상회담 합의 무산과 연관이 돼 있을 것이라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동창리 발사장은 지난해 싱가포르 합의가 이뤄지고 한 달쯤 뒤에 해체 움직임이 포착됐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합의 문서에는 없었지만, 김정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구두로 폐기를 약속했다는 미사일 엔진 시험장이 이곳으로 지목돼 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북미회담 합의를 이행해나가는 중요한 첫 단계로 평가를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 만큼 다시 복구한다는 것은 협상 결렬에 대한 대응 차원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런데 당시에도 북한이 아무런 언급 없이 선제적으로 해체를 해서 말이 말았는데, 이번에도 이와 관련한 직접적 언급 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해체했던 것은 맞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은 당시 풍계리 핵 실험장과 달리 대대적인 선전 없이 조용히 해체 움직임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과연 해체가 맞는지도 의견이 분분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북미 정상 간 합의를 자발적으로 이행하는 모습 보여주기 위한 해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내 여론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복구가 쉬운 시설을 해체해 종전선언 등 미국의 상응 조치를 압박하려는 것이라는 해석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가 하면 아예 해체 의도가 없었다는 시각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해체 작업이 시작된 것으로 알려진 로켓 발사대의 경우, 인공위성 등 평화적 우주개발권을 주장해온 북한의 입장에서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시설이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북한의 입으로 직접 해체하겠다고 발표한 적이 없는 만큼 사실상 해체하려는 것이 아니었고, 이렇게 보면 복구도 예정된 수순이라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북미 협상이 잘 진행된 것처럼 선전하는 데다 이번에도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30711240572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