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앵커. 관련된 이야기, 정책사회부 이은후 기자와 이어 갑니다. <br> <br>1. 중국이 이렇게 책임을 부인하는데 근거는 있는지? <br><br>중국 정부 주장의 핵심은 우리나라 미세먼지 상태가 나빠질 때 중국은 오히려 좋아졌다는 겁니다. <br> <br>그런데 액면 그대로 믿긴 어렵습니다. <br><br>올해 1월 우리 국민들은 고농도 미세먼지 때문에 참 힘들었죠. <br><br>그런데 외신이 같은 기간 중국 39개 도시의 초미세먼지를 측정했는데, 평균 114㎍/㎥ 이 나왔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같은 시기와 비교했을 때 16% 증가한 겁니다. <br><br>한국이 나빠졌다고 중국이 좋아진 게 아니라, 오히려 중국의 대기질 상태가 더 악화됐던 겁니다. <br><br>1-1. 진짜 속내도 정말로 책임이 없다, 그렇게 생각하는 겁니까? <br><br>중국 정부는 최근 두 차례나 대변인을 통해 "한국 미세먼지는 중국 탓이 아니"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실무 담당자들 의견은 다릅니다. <br> <br>우리나라와 중국 정부는 지난달 각자 측정한 중국발 미세먼지 비율 데이터를 서로에게 처음 공개했는데요. <br> <br>그 자리에 있었던 조명래 장관 얘기 한 번 들어보시죠. <br><br>[조명래 / 환경부 장관] <br>"중국 측은 자료를 소개했습니다만 그 자료는 일단 비공개로 소개하기로 전제를 하고 저희들한테는 (중국발 미세먼지 비율을) 이야기했습니다. 평균으로 보면 (우리 계산과) 한 2~3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짐작이 됩니다." <br><br>우리나라가 중국발 미세먼지 비율을 70% 정도로 잡고 있으니 중국 정부는 적어도 20~30%는 자국 책임이라는 걸 인정하는 셈입니다. <br> <br>2. 가장 기본인 데이터도 서로 맞지 않는 상황인데 문재인 대통령이 주문한 인공강우 공동 추진이 가능할까요? <br><br>미세먼지 유입 경로인 서해상에 인공비를 뿌려 미세먼지를 잡아보겠다는 건데요. <br> <br>효과가 한 번도 입증된 적이 없어 자체 실험부터 거쳐야 합니다. <br><br>또 우리 환경부는 중국에서 인공강우를 담당하는 부처가 어딘지도 몰라 아직 제안조차 못한 상탭니다. <br> <br>3. 이은후 기자는 앞으로 협력이 가능할 것으로 보십니까? <br><br>당분간 양국 환경당국간 만남은 이어질 것 같습니다. <br> <br>사실 우리 요구는 수년 전부터 양국이 함께해 온 연구를 좀더 확장해서 미세먼지 경로를 밝혀보자는 것이거든요. <br> <br>명분이 뚜렷해 중국이 거절하긴 어려워 보입니다. <br> <br>다만 지금까지의 중국 태도를 볼 때 이런 공동 연구가 실질적인 해법을 도출하는 협력으로 이어질지 미지수입니다. <br> <br>4. 협력의 실질적인 성과를 내려면 중국 정부와 간극을 좁히기 위한 노력도 중요할 것 같은데요? <br><br>중국은 사실 급할 게 없습니다. <br> <br>다른 나라의 대기질까지 챙길 필요성이 낮기 때문입니다. <br><br>중국 정부는 미세먼지 관련, 자국에 비판적인 기사가 나오면 따질뿐만 아니라 협의를 거부하기도 한다는데요. <br> <br>오죽하면 "중국 당국자들을 어르고 달래는 것이 업무의 핵심" 이라는 말이 환경부 관계자들 사이에서 나옵니다. <br><br>앵커. 정책사회부 이은후 기자였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