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택시 부족한 심야엔 이용 안 돼…“반쪽 카풀” 비판

2019-03-08 47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자가용 카풀을 출근때 2시간, 퇴근때 2시간 동안 허용하는 합의가 어제 나왔지요. <br><br>그런데 정작 시민들은 불편을 호소해 온 것은 늦은 밤에 택시잡기였습니다. <br> <br>이 대목이 빠져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먼저 홍유라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정낙훈 / 서울 노원구] <br>"(택시 요금이) 너무 비싸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[유예린 / 대전 대덕구] <br>"(승차를) 거부당하니까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고…." <br> <br> 이처럼 택시 이용에 불만을 표시하던 이용객이 적지 않았습니다. 카풀 서비스가 어느 정도 불편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실망감이 터져나옵니다. <br> <br> 이용 시간이 특정 출퇴근 시간으로 한정됐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공명준 / 부산 사하구] <br>"사실상 이 정책은 무용지물이지 않을까." <br> <br>[김수민 / 경북 포항시] <br>"출퇴근 시간이 명확하지 않은 사람들에겐 좀 합리적이지 않은…." <br> <br> 정작 택시가 부족한 심야엔 이용할 수도 없습니다. <br> <br>[김현진 / 경기 용인시] <br>"밤이나 새벽에 더 자주 타게 되는데 시간적 제한이 있는건 생각보다는 별로인 거 같아요." <br> <br> 사회적 대타협기구에 참여한 카카오 모빌리티와 택시업계만 실익을 챙겼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 <br> <br> 택시업계는 월급제 도입의 발판을 마련했고, <br> <br>[손명수 / 국토부 교통물류실장(어제)] <br>"근로시간에 부합하는 월급제를 시행한다." <br> <br> 카카오 모빌리티는 신사업 진출의 길을 열었습니다. <br> <br>[정주환 / 카카오 모빌리티 대표(어제)] <br>"규제혁신형 플랫폼 택시를 금년 상반기 중에 출시…." <br> <br> 하지만, 협상 과정에서 배제된 5만여 명의 서울 개인택시기사들은 합의안을 전면 거부하고 있어 난항이 예상됩니다. <br> <br>채널 A 뉴스 홍유라입니다. <br> <br>yura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한효준 <br>영상편집 : 장세례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