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초·중·고등학생 사교육비 전체 규모가 20조 원에 육박한 걸로 집계됐습니다. <br /> <br />학생 한 명 평균으로는 한 달에 29만 천 원씩 쓰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평정 기자! <br /> <br />학생 수는 줄고 있는데 사교육비는 오히려 더 늘었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교육부와 통계청이 지난해 사교육비를 조사한 결과 초·중·고등학생 한 명이 한 달 평균 29만 천 원을 썼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전년보다 7% 증가한 수치로, 사상 최고치를 1년 만에 또 갈아치웠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여기엔 사교육을 안 받는 학생도 포함된 평균값이라서, 사교육을 받는 학생만 따로 모으면 평균값이 더 올라갑니다. <br /> <br />사교육 받는 학생의 한 달 평균 지출액은 39만 9천 원이고, 이 수치 역시 전년보다 4.6%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초·중·고등학생의 사교육비 총액은 19조 5천억 원으로, 전년보다 4.4%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학생 수가 573만 명에서 558만 명으로 1년 사이 2.5% 줄었지만, 사교육비는 오히려 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소득이 높은 집일수록 사교육비로 쓰는 액수도 더 많았죠? 저소득층과 차이가 어느 정도입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 달 소득 8백만 원 이상인 가구와 2백만 원 미만인 가구를 비교하면, <br /> <br />8백만 원 이상인 가구는 학생 1명에 한 달 사교육비를 50만 5천 원 썼습니다. <br /> <br />2백만 원 미만인 가구는 9만 9천 원인데요. <br /> <br />8백만 원 이상인 가구가 무려 5배를 더 많이 지출하는 셈입니다. <br /> <br />부모 가운데 누가 경제활동을 하는지에 따라서도 차이가 났는데 맞벌이 가구는 학생 1명에 평균 30만 7천 원씩 지출한 데 반해, <br /> <br />아버지 외벌이 가구는 29만 7천 원, 어머니 외벌이 가구는 18만 5천 원으로 상대적으로 더 낮았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YTN 김평정[pyu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31215302562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