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로변 곳곳에 소음을 막기 위해 투명한 방음벽이 설치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이 투명 방음벽에 새들이 모르고 부딪혀 죽는 경우가 많아 대책이 시급합니다. <br /> <br />황선욱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기도 고양시의 도로변에 있는 투명 방음벽입니다. <br /> <br />방음벽 바로 아래 흩어진 깃털과 함께 비둘기가 죽은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새들에게 이런 투명한 방음벽은 위험하기 짝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새들이 투명 창을 개방된 공간으로 인식하는 데다 눈이 머리 옆에 있어 정면의 장애물과의 거리를 분석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윤순영 /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 : 투명하기 때문에 바로 새들이 통과하는 거예요 유리벽인 모르고 스트라이크(충돌)가 일어나서 부딪혀서 죽게 되는 거죠.] <br /> <br />실제 환경부와 국립생태과학원이 전국의 투명 방음벽과 건물 유리창 56곳을 조사한 결과, 378마리의 조류 폐사체가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폐사한 조류는 멧비둘기 등 소형 텃새가 대부분이며, 연간 8백만 마리가 충돌사고로 죽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환경부는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충돌사고를 막기 위해선 투명 방음벽을 줄이는 게 최선입니다. <br /> <br />어쩔 수 없이 투명 방음벽을 설치할 경우에는 일정 간격의 무늬를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 <br /> <br />[김영준 / 국립생태원 동물관리연구실장 : 유리창이 사람의 손바닥보다 더 큰 공간이 있게 되면 충돌이 일어납니다. 그래서 되도록 줄이나 점들이 5~10센티 간격 이하로 찍혀져 있도록 만드는 게….] <br /> <br />흔히 독수리나 매 등 맹금류 스티커를 붙여놓기도 하지만 새들이 가짜라는 걸 금방 알아차리기 때문에 효과가 없습니다. <br /> <br />환경부는 올해부터 새로 설치되는 방음벽은 조류충돌 방지조치를 의무화하고 환경영향평가에도 반영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황선욱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315012954885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