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렇게 미국과 북한 모두 강경한 메시지를 내놓으면서도 대화의 여지는 남겨두고 있는데요. <br> <br>청와대는 북한의 속내부터 파악해야 하는 숙제를 떠안았습니다. <br> <br>이어서 조아라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비핵화 협상 중단을 시사하며 초강수를 둔 북한. <br> <br>[최선희 / 외무성 부상] <br>"미국의 강도적 입장은 사태를 분명 위험하게 만들 것입니다. 우리 최고지도부가 곧 자기 결심을 명백히 할 것으로 보입니다." <br><br>하지만 "북미 두 정상의 관계는 여전히 좋다"며 "궁합은 놀라울만큼 훌륭하다"고 평가했습니다. 대화 가능성을 열어둔 강온 전략입니다. <br> <br>청와대도 이 부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북한이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유화 메시지를 보내며 탑다운 방식의 협상을 다시 진전시킬 의지를 갖고 있다는 겁니다. <br><br>김의겸 청와대 대변인도 "목적지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여러 우여곡절이 있을 뿐"이라며 북한의 협상 의지를 낙관했습니다. <br><br>북한 관영매체는 오늘 최선희 부상의 기자회견을 일절 보도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여론전에 나서지 않고 침묵하는 것은 미국의 반응을 살피며 전략을 마련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. <br> <br>정부는 국정원과 통일전선부 라인 등 여러 채널을 가동해 북한의 진의를 파악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아세안 3국 순방을 마치고 귀국길에 오른 문재인 대통령이 밤 늦게 도착하는만큼 이르면 내일, 관련 회의가 소집될 거라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조아라입니다. <br> <br>likeit@donga.com <br>영상취재: 김준구, 박찬기 <br>영상편집: 박형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