YTN은 최근 급변하는 소비 트렌드를 기획 시리즈로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오늘은 그 첫 번째 순서로 집밥 대신 가정 간편식을 먹고, 마트보다는 편의점에서 먹거리를 사는 소비자들의 변화를 조명합니다. <br /> <br />주로 2030 세대나 1인 가구, 맞벌이 가구가 이런 흐름을 주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신윤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막창에 닭발, 곱창전골까지… <br /> <br />포장마차에서나 즐길 수 있었던 안주들이 식탁 위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퇴근 뒤 맥주 한잔을 즐기는 '홈술 족' 조태희 씨가 자주 이용하는 간편 가정식입니다. <br /> <br />[조태희 / 회사원 : 무조건 밖에 나가서 비싼 가격에 사 먹어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었는데 요즘은 저렴한 가격에 혼자서 편하게 먹을 수 있게 간편하게 나와서 가장 좋은 것 같아요.] <br /> <br />집에서 맛을 내기 어려운 스테이크 같은 메뉴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요리 상자, '밀키트'도 간편식의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다른 20대 직장인 김예진 씨의 단골집은 다름 아닌 편의점입니다. <br /> <br />편의점 표 원두커피와 샌드위치로 아침을 해결하고, 퇴근길 4캔에 만 원짜리 수입 맥주를 사서 집으로 향합니다. <br /> <br />[김예진 / 회사원 : 접근성이 좋기도 하고 다양한 메뉴들이 있어서 여러 가지 고를 수 있는 선택지가 있어서 손쉽게 찾게 되는 것 같아요.] <br /> <br />'편도족'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낸 도시락을 시작으로 커피와 디저트까지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편의점은 골목길 '간이식당'으로 변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가정 간편식과 편의점 음식의 무한 변신이 가능해진 배경에는 간편함을 추구하는 1인 가구와 맞벌이 부부 증가가 꼽힙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간편식 시장은 2조 원을 돌파했고, 편의점은 신용카드 사용액이 8조 원에 육박하며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정희 /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 : 우리도 이제 '나 홀로' 소비가 늘고 있는 거죠. '나 홀로' 소비는 거하게 식사하는 게 아니라 간단하게 편리하게 재미있게….] <br /> <br />영양 불균형과 가파른 가격 인상 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, 배달 서비스까지 가세하면서 간편식과 편의점은 소비의 대세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신윤정[yjshin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32005370183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