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이강근 /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장] <br />능력 분포를 가지고 있었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까 비슷한 그림인데 지금 이 그림은 PX-1 쪽에서 단측면을 바라봤을 때고 아까 최민 교수님이 보여주신 거, 이 그림은 PX-2에서 단층면을 바라봤을 때. <br /> <br />지금 이쪽이 이수 누출이고 1차 수리자극이 오렌지색깔이고 2차 수리자극이 그린이고 3차 수리자극이 블루고 포항지진 본진이 여기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다음에 오펀서클은 2017년 4월 15일에 있었던 지진의 여진들의 분포를 보여드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까 최민기 교수님이 설명하셨듯이 이 단층면에서 어떤 이벤트에서 남서 방향으로 심도가 깊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유발지진이 발생을 했고 본진은 그 지진들이 만든 범위 내에서 발생을 한 걸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까 나왔지만 유발지진과 촉발지진의 정의를 우리 해외조사단 멤버들이 내렸는데 이걸 한글로 의역을 하면... <br /> <br />그런데 이 유발지진과 촉발지진의 개념은 저희 보고서에 포항지진을 설명하는 데 국한해서 말씀드리는 겁니다. <br /> <br />유발지진은 지구 내부 유체 주입의 영향으로 공급압과 압력이 변화된 공간적 범위 내에서 파열되면서 일어날 수 있는 규모의 지진으로 이때 지진은 유체주입으로 인한 변형 에너지와 조구조운동으로 축적된 변형 에너지를 방출한다. <br /> <br />촉발지진은 인위적인 영향이 원인이나 그 영향으로 자극받은 공간적 범위를 크게 벗어나는 파열이 발생하면서 이때의 지진은 대부분 조구조 운동으로 축적된 변형 에너지를 방출한다. <br /> <br />지금 이 개념을 가지고 저희 조사연구의 결론을 말씀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조사연구의 결론은 지열발전 실증연구 수행 중 지열정 굴착과 두 지열정 (PX-1, PX2)을 이용한 수리자극이 시행되었고 굴착시 발생한 이수누출과 PX-2를 통해 높은 압력으로 주입한 물에 의해 확산된 공급압이 포항 지진 단층면상에서 남서 방향으로 깊어지는 심도의 미소지진들을 순차적으로 유발시켰다. <br /> <br />시간의 경과에 따라 결과적으로 그 영향이 본진의 진원 위치에 도달되고 누적되어 거의 임계응력상태에 있었던 단층에서 포항 지진이 촉발되었다. <br /> <br />감사합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pn/0301_2019032011301584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